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나사가 달에 착륙한 시기와 연도가 언제인가요?
나사가 달에 착륙한 시기를 물어보신 것 같네요.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했다고 합니다. 50년도 전에 달에 착륙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앞으로 더 기술이 발전하면 우주여행의 장벽도 조금 더 낮아질 수는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비가오는날에 물웅덩이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물웅덩이가 생기는 것이 특별한 원리가 있을 것 같지는 않네요. 여러 이유로 흙이 파이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곳에는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물이 내려가면서 물웅덩이가 생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우주는 얼마나 넓고 큰가요?????
관측가능한 우주의 지름은 930억 광년이라고 합니다. 그 이상의 우주는 빛의 속도로 인한 관측한계 때문에 아예 알수가 없습니다. 지금도 우주는 계속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크기일지 예측이 어렵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행성마다 하루의 시간이 다 다른가요?
말씀대로 하루의 시간은 자전하는 시간입니다. 자전이 수백일 이상 걸리는 행성들도 있습니다. 각각 행성은 자전시간이 다 다르다고 봐야겠습니다. 달의 자전시간은 655시간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강 하류에서 바다와 만나는 첫 지점에서부터 해수와 담수의 경계는 정확히 어디인가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을 하구라고 부릅니다. 해수와 담수의 경계는 당연히 명확히 선으로 구별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 중간지역은 염도가 중간정도로 유지되겠고, 선으로 분리되기 보다는 일정한 공간으로 경계를 구별하는게 맞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백두산이 폭발을 하면 어떻게 되나요?
백두산이 언젠가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확한 날짜는 아무도 모릅니다.화산이 폭발하면 주변 수십km 까지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한민구에 직접 피해가 오지는 않을것 같습니다.다만 화산재등이 바람을 타고 날아올 수는 있겠고, 사람들 건강에 간접적인 악영향이나 농업에 피해를 줄 수는 있을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지구가 멸망해도 바퀴벌레는 살아남는다는게 실제로 맞는 말인가요?
지구가 멸망해도 살아남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여러 극한 상황에서도 잘 살아남는 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고 봐야겠습니다. 우주에서는 당연히 살아남지 못합니다.핵전쟁이나, 소행성충돌등의 극한 상황에서는 바퀴벌레가 살아남을 가능성이 꽤 높은것은 맞을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은 어디서 기원하며, 바닷물이 짠 이유는 무엇인가요?
바다가 짠 이유는 염화나트륨등이 바닷물에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지표면이나 암석등에 있는 성분들이 녹아서 바다로 흘러들어가면서 점점 염도가 높아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햇빛을 받는것만으로도 비타민 충전?
비타민이 모두 생성되는 것은 아니고, 비타민 D 같은 경우 피부가 햇빛을 받으면 우리 체내에서 생성되게 됩니다. 비타민 D에 국한해서 본다면 햇빛에 하루 30분 정도만 노출되어도 충분히 생성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추락하지않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과, 인공위성이 지구 주변을 회전하는 원심력이 균형을 이뤄서 일정한 궤도로 지구를 돌게 됩니다. 지구가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 상공에 정지하고 있다는 것은 지구 자전속도에 맞춰서 돌고 있다고 봐야겠습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