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하늘에서 눈과 비가 오는 이유는 뭔가요?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 상태로 높은 고도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고도가 높아지면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물방울 형태로 모여있는데, 이 수분이 일정이상 모이게 되면 비가되어 내리게 됩니다.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이런 물방울이 눈으로 얼어서 내리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하늘은 왜 파랗고 구름은 왜 흰색으로 생기나요?
빛은 모든 색깔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기는 파란색 빛을 많이 산란시키기 때문에 파랗게 보이게 되고, 구름은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가 탄소에만 있는 것인가요?
지구의 온도상승에는 여러가지 복합적인 영향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에 인류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라서 이산화탄소에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둘레 측정방법
시에네의 우물에서는 하지에 막대의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이에 착안하여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으로 거리를 측정하게 된 것 같습니다. 특정한 지역에서 하지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점이 지구가 둥글다는 점을 떠올리게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지구가 둥근걸 알고 -> 측정 한것이 아니라 그림자가 없다는 점을 알고 계산하게 된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휴대폰으로 우주에 있는 달 촬영이 가능해요?
요즘 핸드폰의 카메라가 워낙 발전해서 어느정도 이상의 퀄리티는 나올 것 같습니다. 일부에서는 합성일 수도 있겠지만 , 다 가짜일것 같지는 않네요. 스마트폰의 성능이 요즘 많이 좋아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지금 지구 온도가 몇도인건가요..?
2023년(평균 온도 14.98도) 였다고 합니다. 인공위성 및 기상기구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 같습니다.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막는 것이 목적이지만, 어려움이 많습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극지방의 빙하가 녹는등 여러 위기가 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미국 NASA에서 하고많은 소행성 중에 베누를 탐사한 이유는 뭔가요
정확한 이유는 알지 못하고 여러가지를 고려했겠지만, 가장 중요한게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이었을 것 같습니다. 특별히 어떤 소행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았을거 같고,, 적당한 크기와 적당한 거리의 소행성을 목표로 했을거라고 추측해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태양은 어느정도로 뜨거운건가요??
태양의 표면은 6000도 정도 된다고 하고, 태양 내부는 1500만도로 매우 뜨겁다고 합니다. 태양풍으로 지구가 터진다(?) 는 장면은 잘 모르겠네요,, 매우 뜨겁지만 매우 멀어서 지구가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비구름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증기가 많이 증발하면서 많은 물방울들이 두껍게 모여서 큰 구름을 형성하면 태양빛을 가리게 됩니다. 이렇게 태양빛을 가리게 된다면, 햇빛을 가려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우주 생물학의 연구와 발견은 어떤가요?
지구밖 거대한 우주에서 다른 생명체를 찾기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생명존재 가능한 조건등을 연구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지구 밖에서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고, 거대한 우주의 크기를 생각하면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