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사람이 사는 가장 추운지역은 어디일까요?
가장 추운나라라고 하면 러시아를 가장 만저 꼽는것 같습니다. 남극이나 북극은 물론 춥지만, 사람이 일상적으로 산다고 보기는 어렵겠네요. 러시아의 오이먀콘 이라는 지역이 영하 50도 정도로 가장 춥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간에 거리는 동일한가요?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등 행성들간의 거리는 당연히 일정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거리는 서로 다르고 우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기상청에서 계절관측이란걸 한다고 하던데 그 계절관측이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계절관측은 말 그대로 매년 같은 계절에 따른 기화나 생물의 변화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지정된 관측 장소, 종목, 방법을 정하여 매년 동일 지점, 동일 개체를 일관성을 가지고 관측해야 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백두산은 현재 휴환산이라 언제 화산폭발 할 지 모른다고 들었는데 화산폭발시 우리나라에 어떤영향을 끼치나요?
백두산이 언제 다시 폭발할지 명확히 알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수십km 까지는 화산폭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수 있지만 우리나라까지 직접영향은 크지 않을거 같습니다.다만 화산재등이 바람을타고 간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대기질에 악영향 주고나 농작물등에 피해를 줄수는 있을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구름과 안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구름과 안개는 둘다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를 만나서 작은 물방울 형태로 떠있는 형태입니다.작은 물방울이 증발되어서 높은 고도까지 올라가서 구름이 되거나,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지표의 영향을 받아서 낮은곳에서 안개가 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밤에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개기월식이 있을때 빛이 지구의 대기의 영향을 받아서 빨간빛만 남으면서 그렇게 보일수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 먼지나 안개등이 심할때는 빨간 빛이 먼지나 안개의 영향을 덜 받기때문에 빨갛게 보일수도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달에는 지구에 필요한 광물같은게 있는걸까요?
여러 원인들이 있겠지만, 과거 냉전시대에 미국과 소련의 달탐사 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를 생각해보자면,,굳이 필요없는 달탐사를 할 수 있다는 건 그 나라의 국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겠습니다.실제 달의 광물을 가져오는 건 경제성이 거의 없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펭귄이나 북금곰이 엄청 추운 날씨에도 얼어붙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말씀대로 성체 펭귄의 털은 방수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털이 미세한 나노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털이 물에 젖지 않도록 하는 특정한 기름이 분비되어 추운 날씨와 물속에서 생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별똥별은 왜 떨어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우주에는 많은 천체들이 있는데, 이런 천체들중 일부가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면서 마찰에 의해 빛이나게 됩니다.대부분은 대기권에서 소멸되지만 일부는 지상까지 떨어지면 운석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5일 작성 됨
Q.
계절은 태양의 고도 때문에 달라지는 건가요?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때는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고 오랜시간 떠있게 됩니다. 자전축이 태양과 반대방향이라면 고도가 낮아지고 겨울이 되게 됩니다.지구 자전축의 기울어짐에 따른 태양고도의 차이가 4계절을 만든다고 생각됩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