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은 수증기 일까요 물방울 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생겨나는 건가요.
구름은 수증기 형태로 높은 고도로 올라가서 기온이 떨어짐에 따라서 작은 물방울 형태로 존재한다고 보는게 맞습니다.수증기형태로 상승해서 -> 응결되면서 작은 물방울 형태로 떠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가 길어지고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더위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해가 오래 떠있으면 광합성이나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오히려 너무 강한 빛이나 너무 오랜시간 햇빛 노출은 오히려 악영향을 줄수가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은 정말로 빨아들이기만하나요 ?
블랙홀은 중력이 매우 강하여 주변의 모든것을 빨아들이는 것은 맞습니다. 그 안은 관측도 불가능하여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아마 빨아들이며 강한 중력에 의해 모든것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막들에는 모두 오아시스가 있나요?
사막들 전체가 오아시스가 있는지 확실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큰 사막에는 오아이스가 있을거라고 생각되네요. 넓은 사막을 고려한다면 오아시스가 어느정도는 있는게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금까지 알려진 별의개수는 몇개인가요 ??
별 즉, 항성의 개수는 '700해' 개 정도로 매우 많다고 합니다. 행성의 수는 거기에 10을 곱하면 '7000해' 개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인간이 직접 간 행성은 아직까지 없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외계문명이 발견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우주는 너무나도 넓기 때문에 사실상 외계문명이 매우 많더라도 그 흔적을 발견하기는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우주의 어마어마한 크기를 생각한다면 외계문명이 있어도 발견되지 않는게 특이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은 증발하지 않나요? 바닷물의 양은 일정한지 궁금합니다.
말씀대로 바다에서 어마어마한 양의 물들이 증발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 어마어마한 양이 비가 내려서 어떤 형태로든 다시 바다로 돌아가게 되기 때문에 바닷물의 양이 자연 증발에 의해서 줄어들지는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상공몇미터부터 산소가 없어지기 시작하는건가요 ??
말씀대로 지구의 대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이런식으로 나눠지게 되며, 어느 한 지점부터 공기가 없어지게 되는게 아니라 점점 공기의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1000km 정도까지 공기가 존재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다른나라에서 나타나는 오로라 현상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오로라의 원리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양성자등의 입자들이 태양풍 형태로 지구에 도달합니다. 지구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과 이런 태양풍이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오로라가 나타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가 앞으로 다시 산유국으로서 지위가 올라갈가요?
사실이고 석유가 펑펑 난다면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은 맞겠습니다.다만 잘 되도 10년이상후에 석유를 채굴할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지 너무 깊은 곳에 있는것은 아닌지 등등 넘어야할 산이 많기 때문에 무작정 기뻐하기는 아직 이를것 같습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