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운명의 날 빙하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빙하에는 아주 오래전부터 진행된 여러 기후변화의 흔적들이 남아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 빙하를 연구한다면 과거 기상변화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미래를 예측한다기 보다는 과거기록을 연구한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바람의 정의는 기압차에 의한 공기의 흐름인데 그렇다면 왜 어떻게 무엇때문에 부는지 궁금합니다 바람이 부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말씀대로 공기가 많은 곳에서 낮은곳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바람이 불게 됩니다.가장 흔한 원인은 태양에너지등으로 지표면이 뜨거워지면 공기가 상승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기업이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아서 기압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행성의 수명은 어떻게 측정하는건가요?
행성의 수명은 많이 이야기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태양같은 항성의 수명은 가진 에너지를 모두 소모할때까지라고 생각하는데, 태양전체의 에너지를 매년 소모되는 에너지로 나눠서 수명을 추정할 수 있을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소행성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6600만년전에 소행성 충돌로 공룡이 멸종할 정도의 큰 사건이 있었다고 생각되며, 그보다 작은 소행성 충돌은 1년에 30만분의 1정도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지구가 수명을 다하게 되면 어떻게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별들은 수명이 있지만, 행성같은 경우는 특별히 수명을 말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지구는 50억년 정도 후에 태양이 수명을 다하면 태양에 삼켜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현재 지구의 수명은 어느정도 남아 있는지 궁금합니다.
별들 (=항성) 은 에너지를 다 소모하고 나면 수명이 다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구 같은 행성은 수명이 딱히 정해져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태양의 수명이 50억년정도 남아서 그 때는 태양에 의해 삼켜져서 지구도 사라지게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태풍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6월 ~ 10월 사이에 태풍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시기나 경로를 예측하기는 어려움이 많아서 태풍 진행상황을 면밀하게 관찰이 필요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허블망원경 보다 얼마나 더 성능이 좋나요?
사실 여러가지 다른 기능이 있고 성능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100 배 정도는 성능이 뛰어나다는 정도로 평가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비가 많이 와도 미세먼지가 안좋을 수 있나요??
말씀대로 비가 오는날은 기본적으로 미세먼지가 호전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가 많이 올 때는 미세먼지가 호전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미세먼지가 워낙 심하고 비가 약간 올때는 미세먼지가 나쁠 수도 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응고, 증발, 승화, 응결 차이점 알려주세요?
응고는 액체에서 고체 -> 즉 물이 얼었을때, 증발은 물이 수증기로 변화, 승화는 물이 수증기로 또는 수증기가 물로 바로 변화는 것, 응결은 수증기가 물이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