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비오기 전에 바람에 세게 부는 이유는 뭔가요??
비가 내릴때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전선과 차가운 전선등이 만나는 등 대기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즉, 대기가 불안정하고 압력차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올때는 바람이 많이 불 수 있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사천에 개청한다는 우주항공청은 어떤곳인가요?
우주항공청은 이제 신설되어서 앞으로 어떤일을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미국의 NASA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우주연구 및 탐사와 관련된 대부분의 일에 관여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태풍이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태풍은 태양에너지를 많이 받으면서 바닷물이 뜨거우지고, 상승기류가 유발되면서 불안정화된 대기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어떤 태풍이 어느정도 심각한 영향을 줄지 미리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여름에는 해가 늦게 지고, 겨울에는 해가 빨리 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국기준으로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때는 태양이 더 오랜시간 떠있어서 낮이 길어지게 되고, 태양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때는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더 짧아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한국에 사계절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있을때와 반대로 기울어져 있을때는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달라져서 여름과 겨울이 구별되게 됩니다. 중위도에서 보이는 특증이고, 적도나 극지방은 계속 여름이나 겨울로 관찰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구 이외의 행성으로 이주하는 테라포밍은 현재 어느정도 진행중인가요?
테라포밍이 진행중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아직은 모두 아이디어나 구상단계 정도라서 생각됩니다. 실제로 진행하려면 훨씬 더 기술이 많이 발전되어야 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구와 온도가 비슷한 행성의 발견이 의미한는 것은 무엇인가요?
40광년은 가장 빠른 우주선으로 가도 5만년 이상은 걸릴 것 같습니다. 당연히 가기는 어렵고, 지구와 비슷한 환경이라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지않을까 기대하는 것이지만,, 실제 생명체가 있을가능성이 높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명왕성 거대한 하트모양이 얼음으로되어있다면 밑은?
생명이 탄생하기 위한 조건은 여러가지가 있어야 하지만, 영하 220도 정도라면 생명이 살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명왕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중력은 빛보다 느린가요? 아니면 같은가요?
중력이 전달되는 속도는 빛과 같다고 생각됩니다. 빛보다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방법은 없다고 생각되며, 중력은 빛과 같은 속도로 전달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구의 시간이 24시간으로 정해진 이유는??
지구의 자전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을 결정했는데, 24로 나눈 이유는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화성은 24.6시간으로 지구와 비슷하지만 금성은 자전주기가 116일이나 된다고 합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