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태양도 수명이 있다던데 어떻게 알아낸걸까요?
태양의 에너지를 계산해서 그 에너지가 다 방출될 시간을 계산했을 것 같네요. 에너지를 모두 사용하면 붕괴가 시작되게 됩니다. 약 50억년 정도 더 유지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블랙홀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블랙홀은 질량이 매우 큰 항성이 수명을 다해서 에너지를 다 방출하고 나면 중심부를 향한 어마어마한 중력만 남아 한점으로 수축되면서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무지개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일까요?
무지개는 비온뒤에 공기중에 물방울이 많이 있을때 발생하게 됩니다. 태양 빛은 빨주노초파남보 이런 색깔들의 합쳐져 있는데, 물방울에 의해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서 빛이 나눠지게 되면서 무지개로 보이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박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일까요?
우박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기중에 있는 수분이 비가 되어 내려오다가 상승기류를 타고 다시 상승하여 차가운 기온에서 수분이 더 달라붙으면서 점점 커지는 과정을 통해 우박이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구의 날은 무슨날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맞습니다. 말 그대로 지구의 날은 지구의 환경오염을 막자는 취지라고 합니다. 다양한 환경오염을 막아서 지구가 더 파괴되지 않고 살기좋은 곳으로 만들려는 목표인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진이 잘 일어나는 지형이 따로 있나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곳은 맨틀의 판과 판이 만나는 부분입니다. 일본은 판과판의 경계에 더 가깝기 때문에 지진이 훨씬 많고, 한국은 상대적으로 안전하긴 합니다. 하지만, 빈도수의 차이일뿐 지진에서 완전히 안전한 곳은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바다는 산소를 어떻게 만들어 내는건가요?
지상에서는 나무들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바다속에 있는 해조류들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해조류들에 의한 산소발생이 적어지는 경우 생물들이 떼죽음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주의 빈 공간에는 어떠한 물질도 없나요?
우주는 워낙 넓고 (지금도 빛의 속도로 커지고 있음) 공간이 무한대라고 생각하면 사실상 아무물질도 없는 진공상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과학자들이 화성에 유독 관심이 많은 이유는?
일단 가장 가깝고, 대기가 그나마 지구와 비슷해서 (물론 매우 어렵겠지만) 생명이 있거나 추후 화성으로 이주한다는 등의 계획을 가져서 그런것 같습니다.. 다른 행성들은 더욱 열악해서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심해어를 육지로 건져올리면 눈알이 튀어나온다는데 사실인가요?
심해어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심해어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높이까지는 적응 가능한 경우도 있다고는 합니다. 갑자기 눈이 튀어나오는 정도 극적인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것 같네요,, 다만 적응하기는 어려워서 대부분이 살기 어려울것 같기는 합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