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미국 NASA는 미항공우주국아닌가요? 정확히 무엇의 약자 인가요
항공우주국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의 약자입니다.말씀대로 우주에 관련된 모든 것을 연구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흐린 날에는 하늘이 왜 하얀색으로 보이나요.
흐린날에는 대기중에 물방울이 많아지면서 가시광선 모두를 산란시키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지만, 구름등이 햇빛을 가리게 때문에 어두워져서 회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천채망원경으로는 어떤 행성까지 볼 수 있을까요??
현대의 천체망원경은 대부분 케플러식 굴절망원경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모두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배율을 높인다고 합니다. 천체망원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고배율을 사용하면 태양계 전체적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구의 자기장은 무엇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나요?
지구 내부의 외핵이 불안정한 상태이며 회전하면서 전기적인 흐름을 만들어내고, 이 전기적인 흐름에 의해서 자기장이 생긴다고 합니다. 지속적으로 회전하니까, 자기장이 계속 발생되겠습니다.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대기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가장 큰 구조물은 무엇인가요?
인류는 우주의 0% 정도를 탐험했다고 생각됩니다. 행성들은 크지 않고, 항성들이 훨씬 크겠고, 수많은 별들이 모여 은하 -> 은하군 -> 은하단 -> 초은하단 -> 우주의 거대구조이런식으로 이뤄진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유클리드 망원경이 찍는 사진은 휴대폰으로 찍는 사진과 화질과 크기만 다른 건가요?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에는 은하 모양을 관측하는 ‘가시광선 관측기(VIS)’와 적색편이 정도를 측정하는 ‘근적외선 분광계·광도계(NISP)’가 실렸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가시광선 영역만 측정하는 핸드폰과는 원리가 차이가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태양계와 같은 행성은 여러개 있을까요??
우주에는 태양같은 항성이 무한에 가까울정도로 많고 당연히 태양계 같은 곳도 매우 많겠습니다. 하지만 가장 가까운 별까지도 아무리 짧아도 수백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실제로 간다는건 매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태풍은 왜 여름에만 오는지 궁금합니다
태풍이 생기려면 강력한 에너지가 필요한데, 여름에 바다가 많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승기류가 생기고 대기의 불안정성이 심해지면서 태풍이 생길수 있다고 합니다. 즉, 여름에 더 많은 태양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태풍이 잘 생기게 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태양의 중력장이라는게 무엇이며 지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중력의 속도는 얼마나 되나요?
태양의 중력이 미치는 범위를 중력장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지구는 태양의 중력으로 인해 태양주위를 벗어나지 않고 공전을 하게 됩니다. 중력의 크기는 만유인력 법칙에 의해, 두 물치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여름은 왜더워요? 어떤이유인지 알려주세요
지구는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여름에는 더 많은 태양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더워지고 겨울에는 반대로 태양에너지 전달이 적어서 추워지게 됩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