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소행성궤도는 불규칙한 흐름이 많은 이유와 불규칙한모습을 보이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소행성의 일부는 규측적인 궤도를 가지지만 일부에서는 불규칙한 경로를 보인다고 합니다. 아마도 행성등에 비해서 질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주변의 중력이나 다른 외부힘에 의해서 경로가 바뀌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주는 중심과 경계는 없다고 봐야하나요?
우주는 최초에 한점에서 시작되어 빛의 속도로 커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 첫 시작점이 중심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중심이 특별한 뭔가처럼 다르게 구별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우주의 커지는 부분이 경계라고 볼 수 있지만 빛의 속도로 커지기 때문에 그 너머에 뭐가 있는지는 확인이 어려울 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운석 충돌이 있었다는 곳이 았다고 들었어요 어디어디가있을까요?
운석 충돌구가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합니다. 전세계적으로 200곳 정도가 있고 한국은 경남 합천군에서 7km 정도의 운석충돌구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우주항공청이란 무엇인가요?
우주항공청은 이제 새로 만들어져서 앞으로 어떤 일을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미국의 NASA와 같이 우주탐사나 연구등에 대한 포괄적인 계획과 실행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주로 언제쯤 인류를 나갈 수 있을까요??
자유롭게라는 기준이 애매하지만, 지금도 잠깐 우주체험을 하는 정도라면 일반인들도 가능합니다. 수억원 정도 비용이 든다고 하는데, 이런 비용은 앞으로 점점 내려갈 것 같습니다. 10년 후 정도라면 1억 정도만 내도 잠깐 우주 갔다오는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40광년 떨어진곳에 지구와 똑같은행성이 있다면 이곳으로 가려면 어떤 기술이필요할까요?
영화등에서도 나오다시피,, 우주선의 속도가 빨라지는데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수밖에 없습니다. 금방 도착한다는 것은 무리겠고,, 노화되지 않게 수면할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장기간의 우주여행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5일 작성 됨
Q.
일기예보도 AI가 적용되면 더 정확해질까요?
기본적으로 날씨를 예측하는데는 너무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세밀한 계산을 해야 정확도가 올라간다고 합니다.AI가 많이 발전해서 기상예측에 적용된다면 훨씬 세밀하고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일식과 월식은 왜 생기게 되는 건가요?
지구와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었을때, 달이 태양을 가리면 일식이 생기게 됩니다.지구가 태양빛을 막아서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 월식이 생기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백두산이 폭발하면 정말 서울에까지 영향을 줄수있나요 ?
정확한 예측은 어렵겠지만, 화산 주변부는 초토화가 되겠고 서울이 직접영향에 들어가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화산재는 중국, 일본까지 퍼지고 아시아 전역에 영향을 준다고 하기때문에 서울은 당연히 엄청난 영향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우주전함은 언제정도면 등장할까요?
미래의 기술을 예측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고, 게임이나 영화에 나오는 형태로 생기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다만 100년 안에는 어렵지 않을까 예측해봅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