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겨울에 강이 얼땐 위쪽이 얼고 아래쪽은 얼지 않는게 맞나요?
겨울에는 공기가 차갑기 때문에 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수면부터 얼게 됩니다. 얼음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위에 얼음으로 막히고,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쪽은 얼지않은 상태로 유지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제주도 섬을 구성하는 돌에는 지질학적으로 어떻게 되나요?
제주도는 화산에 의해 발생했기 때문에 화산이 식으면서 발생하는 현무암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생기는 돌이 현무암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고 있는 동물은 무엇 인가요?
가장 오래사는 동물은 은상어 (심해상어) 라고 하네요. 400년 까지 살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척추동물중에 가장 오래산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남반구와 북반구의 태풍 회전 방향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태풍이 생기는 원리는 지구 자전의 영향에 의해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남반구와 북반구에서는 작용하는 힘이 반대이기 때문에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강수량과 강우량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강우량은 말그대로 내린 물 전체의 양이라서 강수량 + 강설량을 의미합니다. 강수량은 비가 내린 양을 다 합쳐서 말하게 됩니다. 강우량이 더 넓은 범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행성이 위성을 흡수해버리기도 하나요??
위성이 어떤 원인으로 큰 충격을 받으면 행성으로 끌려와서 충돌이 발생하는게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힘의 평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그런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지는 않겠습니다.거대한 소행성 충돌등으로 궤도가 갑자기 바뀌는 등의 일이 일어난다면 적은확률로 가능할니도 모르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사막에서는 비가 많이 내려도 다시 사막이 되나요??
사막에 큰 비가 내린다고 바로 풀이 자랄수 있는건 아니겠습니다. 식물의 씨등이 있어서 풀이 자랄 수 있겠고, 인위적으로 충분한 양의 씨를 뿌리고 많은 양의 물을 뿌린다면 식물을 키울수도 있겠지만,, 쉽지는 않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바다의 목장은 어떤것을 말하는 건가요?
바다목장은 단순한 양식보다는 바다환경이 조화롭게 유지될 수 있도록 더 큰 그림에서 다양한 형태의 바다생명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좀 더 넓은 개념이라고 봐야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여름의 낮이 겨울의 낮보다 더 긴 이유가 궁금합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축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여름에는 태양 빛 노출되는 시간이 겨울에 비해 더 길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소행성의 충돌로 인해서 공룡이 멸종했다는 것이 사실일까요?
여러 가설중 가장 신빙성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소행성 충돌로 먼지가 지구를 뒤덮고 태양의 빛을 막아서 추워지면서 멸종되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