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지진, 화산 활동 등 지구 과학 연구에 대하여 질문
지진이나 화산 활동을 미리 파악하면 미리 대비하거나 위험지역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 외에 지구내부에서 어떤 현상들이 발생하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화성을 테라포밍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요?
지금으로서는 먼 미래의 일이라서 어떠한 난관이 있을지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과학기술이 많이 발전하고 충분한 규모의 자원이 투자된다면 (한번에 모두는 아니지만) 부분부분 환경을 조금씩 변화시키면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수준에서 생각하면 매우 어려울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태양에서도 천둥 번개 벼락이 치나요??
태양에는 행성들의 대기 같은 부분이 달라서 천둥 번개같은 현상은 발생하기 어려울 것 같네요. 태양풍이나 태양 플레어 같은 폭발들이 있지만, 천둥번개와는 전혀 다른 것이긴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한해동안 전세계에 지진은 몇번발생되나요?
2023년 지진횟수는 15600 회 정도 된다고 하네요. 예전에 비해 측정된 지진횟수가 증가하기는 했다고 하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가능성도 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우주의 크기는 어떻게 가늠할수있나요?
빅뱅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한점에서 시작되어 빛의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상태로 생각되며 우주가 시작된 시점과 빛의속도로 확장된다는 점을 이용하면 우주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겠습니다.지금도 계속 빛의속도로 확장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물은 투명색인데 왜 바다는 파란색인가요??
빛은 빨주노초파남보등 모든 색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바다는 파란색을 가장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는 바다가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제임스 웹 망원경은 어떤 것을 관측하고 있나요
당연하겠지만, 제임스웹 망원경은 어떤 한가지만 관측하지는 않고 우주의 모든것들을 관측하기는 합니다. 성운이나 여러은하단 등등 다양한 분야를 촬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지구의 빙하기나 간빙기 등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구의 온도는 주기적으로 변화가 생기기는 합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빙하기 처럼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은 운석충돌이나 거대한 화산폭발등으로 엄청난 먼지가 태양빛을 가리면서 생겼을 가능성이 있을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바닷속 열수구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는 몇도 정도인가요?
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열수구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는 300~400도 정도 된다고 합니다. 매우 높은 온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오존층은 어떤 역활을 하는 건가요??
말씀대로 오존층은 여러 역할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게 말하는 것이 태양의 자외선을 막아주는 역할입니다. 오존층이 파괴되면 태양의 자외선이 직접 지표면까지 도달하여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