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뜨거운 액체상태의 용암을 떠서 어떤 용기에 넣어서 식도록 한다면.?
철의 녹는점이 1400도 정도고, 용암이 1000~1400도 정도 된다고 하는데, 철그릇으로도 안녹을 수 있을것 같네요. 녹는점이 그 보다 높은 금속들도 흔하지는 않지만 많이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전문가 분들이 외계인은 99.9% 있다고 그러는데 어떻게 확신할까요??
우주가 너무 넓기 때문에 지구에서만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질문자분이 우연히 복권한장을 사고 상품이 당첨되었다면,,, 1000조 개 정도 되는 나머지 복권에 상품이 또 당첨될 확률과, 오직 하나의 당첨만 있을 확률을 비교해본다는 개념인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최초의 은하들은 어떤 모습이었나요?
은하들의 수명이 1000 억년 정도 되고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 정도 된다고 하니까, 초창기 은하들도 남아있을 수 있겠습니다. 최초의 은하 모습은 알기 어렵지만 제임스 웹 망원경으로 초창기 은하 탐색이 가능해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최근 관측한 K2-18b 행성의 생명체 존재여부가 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나요?
결국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바다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어 이슈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언론 보도는 약간 과장된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미세먼지가 보통인데 왜이렇게 뿌옇게 보이는 걸까요??
꼭 미세먼지 때문이 아니라 오존등 다른 물질에 의해서도 뿌옇게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흐린 날씨나 황사, 꽃가루 등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뿌옇게 보일수 있을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UFO를 인정하고 않고 존재를 부정하는 나라가 있나요?
UFO 를 인정하는 과학자들은 거의 없을거 같습니다. 우주 어딘가에 외계생명체가 있을수도 있겠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지 외계인이 지구까지 비행물체를 타고 온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네요.미국이 아니라 전세계 모든 정부 및 과학자가 부정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2일 작성 됨
Q.
위성은 고리의 물질들이 모여서 생성된 것인가요??
위성의 생성과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다고 합니다. 다만, 고리에서 생성된 것은 아닌것 같네요.행성생성과정이나 큰 충돌에 의한 가능성, 지나가니던 천체들이 중력에 붙잡히면서 생성된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세상에서 가장 오래 달리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느려도 가장 오래 달릴 수 있는 동물은 호모 사피엔스, 즉 인간이라고 하네요. 인간이 오래 달리는 능력에 워낙 특화되어있어서 다른 동물들은 인간만큼 오래달리기 어렵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지구가 갑자기 자전을 멈춘다면 지구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우주로 튕겨져 나가게 되나요?
지구의 중력이 있기때문에 튕겨져 나간다는 개념보다는 자전하던 방향쪽으로 강한 힘을 받아서 날라갈수는 있을것 같습니다. (우주밖은 아니고 지구내에서 날라갈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1일 작성 됨
Q.
새로운 행성 발견과 우주 연구에 대하여 질문
우주에 대한 연구가 쓸데없다고 하는 의견도 있기는 합니다. 다만,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호기심이고, 우주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부가적으로 발전되는 여러 기술도 존재합니다.여러 다양한 행성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외계행성 5000개를 발견했다고 하네요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