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강도 호수도 모두 다 민물에 속하는건가요 ? 두 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강은 흐르는 상태로 결국 바다 까지 이어지는 형태이고 호수는 땅으로 둘러쌓여 있는게 차이점일거 같네요둘다 민물이니까 양쪽에서 같은 물고기가 살수 있을것 같네요 (특성에 따라 디테일한 부분은 차이가 있을수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지금도 폭발 활동이 일어나는 화산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아이슬란드 레이캬네스 반도에서는 화산이 반복적으로 폭발된다고 합니다.21년 이후에 9번이나 분화했고 최근에도 화산폭발이 있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우리 지구가 태양과의 거리가 조금더 가까워지면 일어나는 일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가장 흔하게 추측되는 부분은 지구의 온도가 더 높아진다는 점이겠네요,,이런 지구온도의 증가로 여러가지 파생되는 문제점이 있겠습니다그 외에 연관된 공전궤도가 변해서 1년이 더 짧아질수도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어느정도 높이 까지 올라가야지 무중력 상태가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완전한 무중력 상태는 불가능하다고 합니다.2100만 km 정도 지구에서 벗어나면 중력의 영향이 아주 작아진다고 합니다다만 우주정거장 (400km) 처럼 자유낙하하는 상황에서는 무중력같은 느낌을 받을수는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대륙 이동을 해서 나눠졌다는것은 믿을만 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맨틀의 대류에 따라 대륙들이 이동해서 현재의 상태가 되었다는 부분은 워낙 다양한 증거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팩트'로 증명되었다고 봐도 무방할것 같네요히말라야 산맥등의 높은 산들은 판과판의 충돌로 생겼고, 지금도 매년 조금씩 고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블랙홀의 형성되는 원인과 과정에 대해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매우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수명을 다하면 엄청난 중력으로 빛까지 빠져나갈수 없게 모든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생성되게 됩니다매우 큰 질량에 의한 중력이 핵심조건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우주는 정말로 무한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는 지금도 매우 빠른속도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관측가능한 우주가 지름 90억광년정도 되지만, 그 이후의 우주는 어떤상태인지 끝은 어디인지 알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지구에 오존층 말고는 대기를 막아주는 층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오존층이 파괴되어서 좋은 점이 있다는 말은 잘 모르겠네요일반적으로 오전층이 자외선 막는 역할을 합니다프레온가스에 의해 오존층에 구멍이 생겼지만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인류가 화성에 직접 간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인간이 직접 화성에 가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화성 탐사선은 수차례 보내서 여러가지 화성에 대한 탐사를 했습니다.화성표면에 과거 액체물의 존재했다는 간접증거를 발견해서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우주에서는 물을 어떻게 마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물을 컵으로 마시기는 어렵기 때문에 빨대를 이용해서 마시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일것 같네요.중력이 없기 때문에 빨대로는 오히려 작은 힘으로 빨아들일수 있다고 하네요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