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SETI(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와 같은 프로그램은 왜 아직까지 외계 생명체와의 직접적인 교신에 성공하지 못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답은 너무 간단한데,,, 우주는 너무나 크고 넓기 때문에 외계생명체가 있더라도 교신하거나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수만개의 외계 문명이 있다고 하더라도 서로의 존재를 알아차리기는 어려운 점이 많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외계 문명이 우리보다 훨씬 더 발전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면????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당연히 상상도 못할 새로운 기술들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어서 예측은 어렵지만,, 우리가 노력하는 친환경 에너지들을 사용할 수 있겠고,,핵융합 발전을 상용화 시킨다면 매우 효율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습니다. 이동 수단은 상상이 잘 안되네요,, 하지만 물리적으로 영화처럼 엄청난 속도로 항성계를 이동하기는 불가능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온난화가 환경과학 연구에서 다루는 주요 이슈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 전체적인 기후변화가 큰 변화를 만들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등으로 육지의 상당부분이 바다에 잠길 수 있기 때문에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이산화탄소 감축에 대한 고민, 해수면 상승에 적응하는 방법,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생산 이나 생태계 보존에 대한 연구등이 중요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제임스 웹 망원경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수많은 과학기술이 총결집되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제임스웹 망원경은 적외선관측을 통해 우주의 심오한 비밀을 탐구합니다. 적외선에 최적화되어 되어서, 다른 파장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흐리게 보이는 우주의 구조를 더 잘 탐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보는 아름다운 모습은 적외선으로 직접 촬영된것이 아니라, 여러 파장을 계산해서 추정되는 색깔로 덧칠하게 된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