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왜 시골에 가면 별이 더 잘 보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도시보다 시골에서 별이 잘 보이는 이유는 크게 2가지라고 생각됩니다.가장 큰 이유는 주변이 어둡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네요,, 태양이 있으면 별이 전혀 안보이는것처럼 도시의 밝은 빛은 상대적으로 별이 보이지 않게 합니다.두번째 이유는 말씀대로 대기오염과 연관 될 수 있겠습니다. 구름낀 날씨에 별이 잘 안보이는 것처럼 건조한 날씨에 습도가 낮을때 별이 더 잘 보이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슈퍼문은 보통 얼마마다 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의 공전주기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에서는 달이 더 크게 보이게 됩니다.이런 근일점과 보름달이 만나면 슈퍼문이라고 부르는데, 일년에 3~4회 정도 된다고 합니다. (딱 일정한 주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타원궤도의 주기와 보름달의 주기가 딱 맞는 순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시간여행에대해 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40년이 아니라 40만년이 지나도 시간여행은 절대 불가능하겠습니다.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구도 당연히 하지 않고 있습니다. 웜홀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시간여행은 100%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우주에 있는 행성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행성은 어느 행성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 주위에 있는 행성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압도적으로 목성입니다. 목성의 크기는 매우 커서 목성 부피는 지구의 1300 배 정도나 된다고 합니다.가스형 행성들은 기본적으로 부피가 크지만 밀도가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라니냐는 어떻게 해서 생겨 났고 언제부터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엘니뇨(스페인어 →어린 남자아이)는 남아메리카 태평양 해안 등 동태평양 해수가 따듯해지는 현상입니다. 엘니뇨 남방진동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따듯한 단계와 차가운 단계를 왕복하는 과정이다.에니뇨의 반대되는 개념이 라냐냐 입니다라니냐(스페인어 -> 어린 여자 아이)는 ‘여자 아이’를 의미하는 스페인어로, 열대 지방의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해수면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의미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비 비린내같은건 비의 어떤 성분에 의해서 나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비가 올때 나는 냄새는 비 자체의 냄새가 아니라 흙속에 사는 미생물들에 의해 난다고 합니다. 미생물들이 분비하는 성분들이 빗방울로 인해서 퍼지게 되면서 냄새가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날짜를보면 30일 달이 있고 31일인 달이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예전에는 홀수를 더 길하게 여겨서 홀수달은 31일 짝수달은 30일로 정했는데,,2월이 원래 가장 마지막 달이었고, 황제의 생일을 길게하려고 2월에서 뺏어서 8월에 붙이고 등등 여러 변동이 생기면서 지금같은 달력이 완성되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전세계의 화산중에 휴화산으로 분류했던 화산이 폭팔한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아이슬란드에서 800년 동안 휴화산이었다가 폭발했다는 내용들도 있네요사실 휴화산 분류가 애매해서 이제는 휴화산이라는 개념은 사용을 안하는 것 같습니다사화산과 활화산으로만 나누게 되고,, 화산이 언제 폭발할지 예측은 어려움이 많은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마리아나 해구가 가장 깊은데 그곳에 생물이 어떤것이 사는지 어떻게 아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원격으로 조종되는 무인 잠수정 등을 이용해서 심해 탐사를 한다고 합니다.음파를 이용해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고 하네요. 약 1만 944m 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말씀대로 인간이 직접 탐사하기는 어려워서 간접 방법이나, 무인 잠수정등을 활용해서 연구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달에서 착륙후보지는 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최근 미국항공우주국(나사)은 2024년 유인 달 궤도 왕복에 이어 이르면 2025년 아르테미스 3호에서 시도할 유인 달 남극 착륙 후보지로 13곳을 선정해 발표했다고 합니다.모두 남극에서 위도 6도 이내에 있는 지역인데,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우주비행사들이 달에 체류하는 동안 달 착륙선 동력원인 햇빛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도드라진 곳, 둘째는 땅속으로 움푹 들어가 햇빛이 전혀 비치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을 끼고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