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여러분들이 지구상의 모든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면, 어떤 언어로 가장 먼저 이야기하고 싶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당연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어를 활용할 일이 많을 것 같네요,, 하지만 만약 전세계가 통일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면 압도적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한글'을 사용하는게 효율적일 것 같네요.가장 좋은 훌륭한 언어는 '한글' 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남극에 있는 빙하가 모두 다 녹아 버리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남극은 대륙으로 되어있고, 북극은 빙하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반적으로 북극의 빙하를 좀 더 걱정하기는 합니다..어쨌든 극지방의 빙하가 녹게 되면 해수면 상승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되고, 물에 잠기는 땅이 많아진다면 나중에는 해양도시등에서 생활해야 될 수도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여름 아침에 호수가나 냇가등에서 피어오르는 아지랭이는 왜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아지랑이는 지면이 빠르게 가열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낮 동안 햇빛이 강하게 비치면 지면은 빠르게 따뜻해지고, 이 열이 지표의 공기를 가열하면서 상승하는데, 이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차가운 공기와 만나서 공기의 굴절 정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물결치듯 아른거리게 보이는 것이 바로 아지랑이입니다.호수나 냇가에서 보이는 것은 어떤건지 정확히 모르겠는데,,일반적은 아지랑이가 나타날 만한 곳은 아닐거 같네요아지랑이 보다는 안개를 말씀하시는 것 같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과학에 관련 자격증도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과학은 기본적으로 폭넓은 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지구과학 자격증이라기 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자격증이 있다고 합니다.대기환경기사, 소음진동기사, 수질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토양환경기사, 응용지질기사, 소음진동기사, 폐기물처리기사, 굴착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지적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위와 같은 다양한 관련 분야들이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