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현재 사람이 파악할 수 있는 바다 속 깊은 곳은 어디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파악이라는 기준이 애매하지만, 말씀대로 인간이 실제 내려가서 확인하는데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음파 탐지기나 무인잠수정 등을 이용해서 어느정도는 파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바다가 너무 넓어서 모든 곳을 파악하기는 당연히 어려움이 많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조수간만의 차가 큰 인천쪽에 오늘 대조기라 하는데 얼마만에 한번씩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대조기는 월 중 조수 간만의 차이가 가장 큰 시기로 음력 보름과 그믐 무렵일라고 합니다.달과 지구 태양이 일직선에 있게되면 달에 의한 조수간만의 차이 발생이기 때문에 음력 한달에 2번 있다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기상청 일기 예보는 기온이 내려간다는 데 실제로 기온은 별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뭐가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이상기후가 생기면서 예전의 데이터와 달라지는 부분이 많아서 더 어려울수는 있겠습니다.예보는 말 그대로 예보이기 때문에 항상 맞힐수는 없을거 같네요..정확하게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문제라고 평가하기는 좀 어렵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지구의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가 초기에 생성된 이후에 운석들의 충돌이 많이 있었다고는 생각됩니다.지구의 지각은 맨틀위에 떠 있는 형태로 맨틀의 이동에 따라 지각도 움직이게 됩니다.지구의 핵들은 높은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구름에 의해 반사된 빛은 어디로 가게되고 어떻게 소멸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반사된 빛은 우주공간으로 퍼져서 아주 먼 거리까지 전달되겠습니다 (우리가 아주 먼 곳의 별빛이 보이는 것처럼요)다만 너무 미약한 정도라서 우주의 온도를 늘리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되겠습니다.반사된 빛은 우주 전체로 퍼져나간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어제 본 슈퍼문은 왜 갑자기 나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슈퍼문은 특별한 것은 아니고, 달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지구와 가까워지는 위치에서 달이 크게보이게 됩니다.달이 가까워지는 근일점과, 보름달이 겹치게 될 때를 '슈퍼문'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사실 달의 거리에 따라 주기적으로 커졌다 작아졌다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밤에 별빛이 조그맣고, 뚜렷하게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빛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별빛도 약해지겠습니다. 사방으로 퍼진 빛들중 직선으로 지구에 도달한 빛만 우리가 볼 수 있으니까, 우리눈에는 그 불빛만 보이기 때문에 조그맣고 뚜렷하게 보이게 되겠습니다.(넓게 퍼진 다른 빛들은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안보인다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과거에는 명왕성의 특징을 잘 알기 어려웠지만,, 관측기술이 좋아지면서 명왕성의 크기가 생각보다 작고, 주변의 위성이라고 생각했던 천체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판단되었습니다.명왕성을 행성으로 인정하면 다른 비슷한 천체들도 행성이 되야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퇴출되었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 여러가지 논란과 논의를 거쳐서 결정된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지구를 무동력으로 일주한 사람은 몇일만에 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캐나다 탐험가 팀 하비(28)가 사이클과 보트, 카누, 스키를 타거나 걸어서 893일 만에 지구 한바퀴를 돌아 세계일주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팔다리만으로 ‘산넘고 물건너’ 세계 일주에 성공한 것은 하비가 처음이라고 하네요.2015년에 한국인 최초로 무동력 세계일주 성공한 김승진 선장은 210일 걸렸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시차라는건 왜생기는건가요?? 진짜?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이 뜨는 것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일어납니다. 따라서 지구의 경도에 따라서 태양뜨는 시간이 다르겠죠..낮과 밤이 달라지고, 통일된 시간을 사용하기는 어렵겠습니다.시간은 사실 어느정도 편의상 차이가 나기는 합니다. 태양이 뜨는 시간을 기준으로 각 나라별로 시간을 정해서 쓰고있다고 생각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