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은하라는것은 어떤것을 보고 정의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은하는 별(항성), 성간물질, 블랙홀, 암흑물질 등이 중력으로 묶여있는 거대한 천체를 통칭합니다. 은하는 질량이 태양의 1억 배에서 100조 배, 크기는 수백 광년에서 수십만 광년으로서 질량과 크기가 매우 넓은 범위에 분포합니다.이렇게 많은 별들이 모여있어서 질량이 크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으로 하나의 집단처럼 움직이는데, 이런 별들의 집합단위를 은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의 중심으로부터 우리 은하는 얼마나 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의 중심은 따로 있지 않다고 합니다. 빅뱅이 일어나면서 우주와 공간과 시간이라는 개념이 생겨났고, 삼차원으로 어떤 공간에서 빅뱅이 일어난게 아니기 때문에,, 빅뱅이 생긴 곳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모든 곳이 우주의 중심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인간의 직관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와 위도가 같은 국가도 사계절이 뚜렷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중위되에 있는 지역들은 대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할 확률이 높은 것은 맞습니다.하지만 모두 그런것은 아니고, 해안 근처라서 온도차가 크지 않거나, 높은 고도인 경우, 사막 기후등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사계절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알 나스라 암석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암석의 절단면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이 있다고 합니다.가끔씩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곳으로, 갑작스러운 지각의 이동이 바위를 갈라 놓았고, 오랜 세월 동안 바람과 물에 의한 침식이 그 틈을 더욱 매끈하게 만들었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절리는 암석이 내부 응력이나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갈라지는 자연 현상인데, 이러한 절리는 종종 직선의 형태를 띠고, 이후의 침식 작용으로 인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물이 암석의 작은 균열에 들어가 얼고 녹기를 반복하면서, 시간이 지나며 균열이 점점 커지는 동경-해빙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동결과 해빙의 반복은 수천 년 또는 수백만 년에 걸쳐 바위를 갈라지게 할 수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