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온도의 기준이 표면인지 수심어디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해양 수온은 표층(0~5m 깊이)에서 측정된다고 합니다. 이 표층의 온도는 해수면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대기와의 열 교환이 활발하게 이뤄져서 가장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온도의 변화가 적어질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이 폭발이후에는 단기적과 장기적으로 지구대기와 온도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산이 폭발이후 화산가스가 태양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고, 화산재에 의해 햇빛이 가려지면서 지구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겠습니다. 이런 효과는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합니다.1991년 피나투보 화산 폭발이후 지구 온도가 0.5도까지 내려간적이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엘니뇨현상이 발생하고나서는 다음해에 지구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엘니뇨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엘니뇨로 뜨거워진 바다가 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면 결과적으로 지구 전체적인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런 원리로 엘니뇨가 생긴이후에 지구온도가 올라갈 수도 있겠다고 추정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동해쪽 바다가 제일 뜨거웠다고 하는데 얼마나 과거대비 온도가 올랐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동해바다가 뜨거워진 것은 맞지만 최근에 발생한 것은 아니고 꾸준히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작년도 더웠다고는 하는데,, 올해는 그보다 더 높고,, 예전 동해의 평균온도에 비해 1도 이상 올라가고, 높은 곳은 2도 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동해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지구온난화 때문이지만, 다른 지역보다 다 빠르게 오르는 것은 주변 기후나 해류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발생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월식은 1년에 몇번정도 일어나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월식은 평균적으로 1년에 2~3정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중에 개기월식은 태양 - 지구 - 달이 일직선상상에 놓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는 평균적으로 2~3년에 한번정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기가 규칙적인 것은 아닙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핵중 액체로된 부분과 점점 고체로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핵은 외핵과 내핵으로 나뉘어지는데,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외핵은 고체상태로 유지됩니다. (4000 ~ 5000도 정도) 내핵은 물론 더 온도가 높지만 (6000도 이상) 높은 압력때문에 액체로 존재하지 못하고 고체상태라고 합니다.궁극적으로 고체가 된다기 보다는 더 압력이 높은 중심부는 고체상태로 유지되고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곳은 액체상태가 유지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현재 우주는 왜 별의 탄생이 적어지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원시우주의 경우에는 우주가 훨씬 작았고, 전체 물질양은 똑같았기 때문에 훨씬 더 밀도가 높아서 여러 물질들의 상호작용이 훨씬 활발했다고 생각됩니다.우주가 점점 확장되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우주 전체적으로 별들의 탄생같은 다양한 반응이 훨씬 적어질수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현재의 미래를 보여주는 SF영화와 , 우리가 본적이 없는 미지를 보여주는 미스테리영화를 봄으로써 우리가 희열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결국은 우리인간이 원시시대부터 생존해 오면서, 유리한 특성들을 가진 개체가 생존을 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즉, 새로운 분야에 호기심을 느껴서 여러가지 도전을 해오는 것에 희열을 느끼는 유전자가 많이 살아남았고, 현생인류에 각인되어있다고 생각됩니다. 새롭고 신비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은 인류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보는 지도는 아프리카가 넓지 않게 나왔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둥근 지구를 세계지도의 평면에 옮기기 위해서는 오차가 생길수 밖에 없습니다. 그 과정에서 적도부근은 실제와 비슷하지만, 고위도로 갈 수록 실제보다 더 확대되어 왜곡되는 문제가 있습니다.적도부근은 실제와 비슷, 고위도로 갈수록 확대되어 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와 달은 동싱에 만들어 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이 기원에 대해 여러가설들이 있다고 합니다. 가장 인정받는 가설은 지구가 생성되고 약 1억년이 지나서 외부의 커다란 천체가 지구와 충돌하면서 지구의 일부는 튕겨져 나가고 천체의 일부는 지구에 흡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