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 쓰레기를 처리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기본적으로는 우주쓰레기 위치를 파악하고 그것을 피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중이라고 합니다.그리고 인공위성 자체로 수명이 끝나면 자체적으로 대기권에서 소각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부에서는 적용된다고 합니다.자석이나, 그물, 로봇팔들을 이용해서 우주쓰레기를 직접 제거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 온도가 앞으로 상승하게 되면 어떤일들이 벌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온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넘어가면, 빙하가 녹고 그 안에 있단 이산화탄소 배출되면 온도가 더 더워지는 등 악순환으로 인해 돌이킬수가 없다고 합니다. 사실상 그 한계점은 이미 넘었다고 봐야될 거 같고,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됩니다. 앞으로는 빙하가 녹고, 지구 온난화가 더 악화되면서 매우 많은 변화가 생길것으로 생각됩니다.쉬운 예시로 대학교 조별과제처럼,, 내가 열심히 지켜도 소용없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들이 강력하게 추진하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외계생명체를 찾으려고하는 이유는 호기심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호기심,,, 이 맞긴 합니다. 우주에 인류만 있는지 아니면 다른 생명체들이 있는지는 매우매우 궁금한 인류 최대의 수수께끼 이기는 합니다. 과학의 많은 부분이 단순 호기심에서 시작한 경우가 많으니까요다만,, 우주개발에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면서 관련기술 및 과학도 매우 발전하여 인류에게 실질적인 이득도 매우 많다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스타쉽 착륙장면에서 이번에는 어떤 새로운 도전을 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1단계 추진체(부스터)를 발사한 자리로 되돌아오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말씀대로 기존 펠컨9도 회수를 했었는데, 이번에 더 큰 의의가 있다고 합니다. 일단, 71m 에 달하는 거대한 추진체를 회수했으며, 기존에는 멀리 떨어진 곳으로 착륙했는데, 이번엔 발사대로 다시 돌아온다는 점에서 비용을 더 아낄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