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도 인력이 어느정도 크기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 이라고 합니다. 달 표면에서의 중력가속도는 1.63 m/s2 으로 지구 표면 중력가속도의 약 16.5% 입니다. 따라서 달에서 어떤 물체의 무게를 잰다면 지구의 1/6 정도로 가벼워지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여름은 습하고 겨울은 건조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여름은 온도가 높고, 온도가 높아서 물이 증발을 많이해서 수증기 상태로 많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네요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있어, 높은 온도에 의해 많은 물이 증발하면서 습도가 높아지겠습니다)겨울에는 증발되는 물의 양이 훨씬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건조해지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공상과학영화나 우주영화에 등장하는 우주정거장은 왜 도넛이나 바퀴처럼 둥글게 구상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실제 국제 우주정거장은 둥근 형태는 아니네요,, 영화에서 나오는 이유는 '멋있어 보여서' 가 중요한 이유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둥글게 만들면 회전시 압력을 균일하게 받거나 이동시 한방향으로 모든 곳을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수는 있을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낮에 달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낮에도 달은 하늘에 떠 있을때가 많지만, 태양의 밝은 빛 때문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태양빛이 약해지는, 새벽이나 저녁 또는 흐린날씨, 구름에 가려졌을때 -> 이런 다양한 상황에서 낮에도 달이 보일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일년중에 한달이 어떤달은 30일 , 31일 ( 또 28일 ) 로 되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력의 변천사는 굉장히 복잡하다고 하는데,, 체계적으로 만든게 아니라 로마시대 지도자들의 맘대로 늘었다 줄었다 했다고 하네요.원래는 봄의 시작인 3월이 1월이었고, 마지막인 2월은 29일로 만들고아우쿠스투스 황제가 자신이 생일인 8월을 31일로 늘리려고, 2월에서 하루를 뺐어 와서 바뀌었다고.. 하네요.. 중간에 달력이 여러 요인에 의해 바뀌면서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대기압(1기압)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우리몸 바깥에서는 1기압의 압력을 받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합니다.그 이유는 우리 몸 안쪽에서도 같은 압력이 바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평형을 이루고 있을때는 압력을 느끼지 못하고, 외부압력이 변하면 압력차이를 느낄 수 있게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는 헬륨3라는 에너지자원이 얼마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헬륨3는 태양풍에 의해 달의 표면에 수십억년동안 쌓여있다고 합니다.달 표면에 존재하는 헬륨-3는 약 100~200만 톤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인류가 약 1만 년 넘게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공간에서 소리도 전달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소리가 전달되려면 매질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우주공간에서는 아무리 큰 소리가 나도 들을수가 없습니다. 아주 적막하고 고요한 것이 맞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가 쨍쨍한 날에도 비가 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대기가 높은 곳에서 돌풍에 의해서 먼 거리까지 빗방울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비구름이 멀리있고, 빗방울이 생성되지만 바람에 의해 멀리까지 이동하고, 그 때 느끼기는 구름없이 비가 온다고 느낄 수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올해 겨울에는 굉장한 한파가 올수 있다고 하는데 이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간단히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고, 꼭 맞을지도 모르는 상황이네요. 주변 대기의 흐름등을 예측하는데, 북극에서 한파가 한국까지 내려올 수 있을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중위도 대기의 세력이 강해 제트기류가 극지방에 가깝게 형성돼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에어커튼’ 역할을 하는데,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그런 차가운 공기를 막지 못하는 것이 추위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네요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