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기지인 미르는 어떻게 조립을 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조립식으로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여러 부위들을 각자 발사해서 우주에서 띄워놓고, 우주비행사들이 작업을 통해서 조립해서 완성하는 방식이 될 것 같네요. 말로는 쉽지만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소행성이 지구와 부딫힌 사례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소행성이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경우는 매우 많고, 대부분의 마찰에 의해 사라지게 되고,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경우 운석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작아져서 도달하는데, 1908년 이집트 개가 운석에 맞아 즉사1938년 운석 8개가 미국에 떨어져 소가 다침 2013년에는 미국 7살 아이 운석 맞음1954년 11월 30일 미국 앨라배마주 실러코가에 살던 34세의 주부 앤 엘리자베스 호지스가 운석에 맞아 부상이런 사례들이 드물게 있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문학은 언제 만들어진 학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천문학은 고대부터 별을 보고 연구하고 길을 찾는데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연구되었던 것 같습니다다만 본격적인 천문학은 16세기 이후부터 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지구 중심적이었던 천문학은 16세기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내세우면서 크게 변화됐습니다. 그리고 17세기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금성의 변화를 관측하고 티코 브라헤가 행성의 움직임을 측정하면서 급속도로 천문학이 발전했습니다.우주의 수많은 비밀을 연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새벽에 가면 물 안개가 많이 생기는데 물 안개가 생기는 원리는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와 비슷하게,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중에 응결된 작은 물방울이 떠 있는 상태라고 생각됩니다. 저수지나 강가는 습도가 높고, 새벽에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물방울이 응결되기 때문에 새벽 저수지에서 많이 관찰될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둥과 번개가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수직으로 길게 생긴 적란운이 뇌운이라고 불리면 천둥번개를 잘 발생시킵니다.수직으로 길게 된 구름에 전하차이가 생기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전위차이기 생기면 번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이 때 생기는 번쩍이는 현상을 번개, 그 때 나는 소리를 천둥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을안개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봄안개와 어떤점의 차이가 있다고 보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가을에는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안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가을안개에 특별한 차이가 있을 것 같지는 않네요. 다만 가을안개가 발생하면 날씨가 좋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여 가을안개가 있으면 풍년이 든다는 말에서 가을안개를 쓰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는 어떤 희귀자원이 매장되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에 있는 자원을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가장 희귀한 자원으로 핵융합에 사용되는 헬륨-3 가 많이 있을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그 외에 티타늄, 텅스텐 외에 다양한 자원이 있을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금성은 지구처럼 구름이 있는데 지구와 어떤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대기에 비해 금성의 대기는 밀도가 더 높고, 무거우며, 더 높은 고도까지 펼쳐져 있다고 합니다. 대기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로 이뤄져 있어서 온실효과에 의해 온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런 대기의 특성에 따라 450 도 정도로 높은 온도가 유지되는 부분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봐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미국에 닥치는 허리케인 도대체 얼마나 강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따로 정확한 지표가 있지는 않은 것 같고 위력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추측을 해보는 정도인것 같네요100년 만에 가장 강한 허리케인 가능성이 있으며 5단계 기준으로 나누는데 가장 강한 5단계 (풍속 250km/h 이상이면 5단계 인데, 베릴은 260km/h)매우 강하다.. 이정도만 일단 추정이 가능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항공청은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 항공청은 말 그대로 우주와 연관된 모든 분야에 대해서 연구 및 탐사등을 계획한다고 합니다.가장 근접한 계획은 달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의 성과를 기대해봐야겠습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