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수경기 진작시키자고 1월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을 하니까, 국내 소비 진작 보다는, 해외여행을 가려는 사람이 늘어났다는데요. 이러면 정부정책이 효과가 없는 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정부정책의 효과가 없진 않습니다. 해외여행도 가겠지만 안 그런 비율이 사실상 더 높기 때문이죠.그리고 생각 보다 효과 측면에서 단기적으로 소비율를 끌어올리는 데 일조하게 됩니다.이것이 달랑 하루겠지만 연속적이면 효과는 더 커지게 나오게 되는데 정부는 이것을 노려 월요일을 쉬게 하므로써토,일에서 끊기는 것을 붙여 7~9일까지 휴식기를 가지면서 소비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전략을 택하였습니다.
Q. 현재 대한민국이 정치 상황이 좋지않은 국면에 처해있는데 어떻게하면 어려운현실을 극복할수있을까요?너무힘든 상황에 국민들도 다소 당황스럽워하고 힘든 현실상황을 해결할방법을 원하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상 정부의 해결책은 딱히 없으며 그냥 돈을 조금씩 풀면서 구멍난 곳 막는 것 뿐입니다.한국의 경우 국가경쟁력이 많이 약화된데에다 수출부진, 내수부진, 부동산PF부실에 초고령화사회로 인한 생산성 약화지방 일자리 부족으로 심각한 지방소멸 등을 겪고 있는데 이를 해쳐 나가기 위해선 조금 아프지만 부동산이 일단 내려와야하며 지방 법인세 감면, 혜택 등을 주어서 일자리가 더 많이 늘어나야 청년들이 일하고 경제활동을 하면서 소비가 올라가고 그렇게 해야만 경제상황이 나아지게 됩니다.지금으로서는 부동산이 이렇게 말도 안되게 높게 올려놓고 기업은 내쫓고 아파트만 짓는 현실에서 청년들은 갈 곳이 없어지며 일자리가 없어 경제활동이 둔화되고 결혼도 못하는 사회가 되버렸기에이것을 타파하는 것이 관건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