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김효진 전문가
KICST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 설치된 정거장도 소유권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소유권이 없습니다. 따라서 먼저 깃발을 꽂는 자가 우선적인 권리를 지닙니다. 하지만 셔틀이나 정거장은 얘기가 다릅니다. 당연히 만든 국가나 법인, 개인의 자산입니다. 인공위성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까요? 미국이 쏜 위성은 미국 것이고 한국이 쏜 것은 한국 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엄밀히 말하면 시간은 흐르는 것이라고 말해도 문제없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령 1미터는 자로 잴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인간이 정해놓은 물리량이지요. 이 만큼의 길이를 1미터로 하자고 정한 기준입니다. 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세는 간격을 정한후 이것을 1초로 약속하고 3600회가 될 때를 1시간으로 세는 것일뿐 입니다. 시간은 존재하지 않고 공간만 존재합니다. 글로 설명하기가 어려운데..1억 광년의 거리는 빛의 속도로 1억년을 가는 거리로 약속했습니다. 축척하여 이 거리만큼의 우주를 A4 용지 크기라고 가정합시다. 용지를 반으로 접으면 도달하는 시간은 0초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카멜레온이 피부색을 그렇게 바꿀 수 있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색깔을 본다는 의미는 빛이 반사되어 인지하는 것입니다. 카멀레온은 빛을 반사하는 피부를 이완시켜 빛의 반사를 조절하여 다른 색깔로 보이게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본이 우라나라의 지진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은 유라시아판 하부로서 대룩입니다. 일본은 유라시아판과 북미판의 경계선이 남북으로 관통하고 하부는 필리핀판과 태평양판이 만나는 곳입니다. 불의고리라고 부르는 지역의 국가지요. 관동대지진처럼 지진이 일어나면 태평양판이 올라타는 형국이라서 한국은 피해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건 지질학자들 얘기고요. 지질학이나 기상학, 해양학 등이 토목공학에서 떨어져나간 분야로 깊이 있는 지식이 없어서 잘 모르는 얘기고요. 그리고 그들은 공학자가 아닙니다. 각설하고 태평양판이 미는 것은 맞지만 태평양판이 일본을 올라타는 것이 아니고 일본은 밀려서 한국이 속한 유라시아판 아래로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그 때까지는 일본이 지진을 막는 방패 역할을 할 것이고 언젠가는 부산, 울산 아래로 가면서 대구지역까지 파괴될 것은 99%입니다. 실제 이 지역은 연약지반이라서 매년 가라앉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챗 gpt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 저는 아하토근에서 답을 쓰고 있습니다. 이것을 컴퓨터가 대신 하는 것인데요. 글을 읽는 것입니다. 빠른 시간안에 인터넷 검색, 사전, 보고서 등을 검색해서 행동하는 것입니다. 점점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진화하는 AI라고 떠드는 것일뿐 별거 없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우리나라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만들 수 있는 기술에 도달했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이미 도달했습니다. 그 시기는 90년 중반~2000년초로 추정하는데요. 미국 때문에 기술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시험 발사시 연료를 20~30%만 주입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과학적으로 속도가 빠를수록 시간이 느리게 흐르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 이것은 쉽게 생각할 수 있는데요. 속도는 단위시간당 거리입니다. 양변에 시간을 곱하고 속도로 나누면 "시간=거리(변위)/속도" 가 됩니다. 분모인 속도가 증가하면 시간은 감소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동차의 범퍼는 어떤 원리로 원상복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탄성력 때문입니다. 뉴튼 운동 제3법칙을 이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맞는 답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여기까지는 질점이라고 불리는 작용점을 기준으로 최외부의 범퍼가 갖는 허용변형률 안에 들어갈 때 말하는 것이고 3중 범퍼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안의 범퍼는 손상후 복원이 되지 않습니다. 살짝 접촉하면 외부는 멀쩡하지만 내부의 두 범퍼는 파손된 상태라서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무조건 범퍼를 교체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범퍼의 기능이 필요한 50~60킬로미터에서 사람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