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남희성 전문가
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생리 일주일 전에 편두통이 심한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편두통이라고 표현하셨는데 어떤 증상이 있으신건가요?머리의 좌우중 한부위에 아프다고 편측, 편두통이다 이렇게 표현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하나의 진단명이지 좌우 한쪽만 아픈걸 의미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편두통이 편측으로 오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좌우 동시에 아픈 경우도 있구요. 편두통은 혈관의 확장과 관련된 증상이며 관자놀이 부위에 박동성의 통증 양상을 띕니다. 스트레스에 의해서 편두통이 유발될 수 있으며 생리 주기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편두통과 별개로 생리전 증후군에서도 두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호르몬 변화에 의한 두통인거죠. 원인에 따라서 치료가 달라지지만 대부분 타이레놀이나 일반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시는걸로 통증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영양제를 복용한다고 지금의 두통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부분읍 없겠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귀가 피어싱으로 뚫었는데 곪았어요 ㅠㅠ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막히지 않고 치료를 하려면 저자극성(예: 티타늄, 14K 금, 의료용 스테인리스) 귀걸이를 사용한 상태로 상처를 치료해야합니다.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로 소독하시고 항생제 연고 발라주시고 가능하면 드레싱 용품으로 덮어두시는게 도움이 되겟습니다. 손을 대면 감염이 되기 때문에 손은 가능한 대지 않으시는게 적절하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제목 신경과 MRI MRA 검사결과 분석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중요한 부분은 mri 결과중에 양측 전두엽 백색질에 음영이 증가한 부분이 있는데 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3가지 가능성은1.mild chr.ischemic change (가벼운 만성 허혈성 변화)2.demyelinatinf ds or vasculitis (신경의 탈수초 질환 또는 혈관염)3.aging process or other etiology (노화에 의한 변화이거나 다른 원인)가 있겠습니다. mra 결과는 Mild to moderate stenosis at Rt.CCA bifurcation. (경증~중등도의 총경동맥 (Common Carotid Artery) 분지 부위의 협착)Mild stenosis at Rt.CCA bifurcation (경증의 총경동맥 (Common Carotid Artery) 분지 부위의 협착) - 이건 위와 중복되는 내용인데 왜 또 적어놨는지 모르겠습니다. Hypoplasia of both p1 with fetal type PCA supply - 후대뇌동맥 (PCA, posterior cerebral artery) 중 양측의 P1 부위가 저형성되어있는데 이 모습이 후대태아형같다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는 뇌동맥이 기저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지 않고 내경동맥에서 공급받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궁금해하셔서 해석은 해드렸지만 사실 의학적인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사항들이 많아서 이 소견들중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고 지금 치료가 해야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담당 선생님에게 이야기를 들으시는게 맞겠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수십년동안 술을 매일 마셔서 잠을 잤는데 5일째 술을 안마시니 잠이 안옵니다. 수면제 처방받았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지금같은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시간이며 이외에 저희가 도움이 될 부분들을 설명드리기는 하지만 수면제 복용 이외에 큰 효과가 있는게 없기 때문에 읽어보시고 실천할 수 있는것들을 실천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낮잠 피하기, 몸에 편안한 온도, 밝기, 소음제거 만들기, 저녁 시간에 카페인, 니코틴, 과식 피하기, 저녁에는 격한 운동보다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 명상, 복식 호흡, 점진적 근육 이완법(PMR), 자기 전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자제, 심리적 긴장 완화를 위해 일기 쓰기, 따뜻한가 도움이 되겠습니다. 수면에 도움이 되는 약중에서 멜라토닌은 부담이 가장 적은 약이기 때문에 사용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으며 위 방법들로 해결이 되지 않는 불면만큼만 조피클로, 졸피뎀(스틸녹스)같은 수면제를 사용해보시는게 적절하겠습니다. 지금은 뇌가 알코올 없이 자는 법을 다시 학습하는 상황이며 빠르면 2~4주, 길게는 수개월이 걸릴 수 있으므로 인내와 일관된 수면 습관 유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안과
안과 이미지
Q.  한 달 이내 병원 재방문시 가격 저렴해지는 것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진료비가 싸지는 이유는 초진이 아니라 재진료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재진료 기준은 30일 이내에 방문시입니다. 6/29까지가 재진입니다. 진료 없이는 아니고 초진시에는 진찰 및 문진을 통해서 파악할것이 많고 재진시에는 이런 부분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재진료라는게 있는겁니다. 사실 진료 없이 약만 처방하는건 적절하지 않습니다. 병의 경과가 어떻게 변했는지, 약을 복용하고 문제는 없었는지, 궁금한 부분이 없는지 등을 재진시에 확인해야하니까요. 6/29에 가시면 재진으로 진료 보실 수 있는데 일요일이니까 6/28 토요일 내일 방문하시는게 맞겠습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