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리플리증후군은 어떨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리플리증후군은 현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고, 거짓말이나 허구의 인생을 반복적으로 살아가는 상태로 상습적인 거짓말, 현실 회피 및 허구의 세계 구축, 자아 정체성 혼란, 사회적 기능 저하, 외부 지적 (거짓말을 하고있다는 지적)에 대한 방어적 반응을 특징적으로 보입니다. 공식 정신질환 진단명은 아니며 '에이전트 리플리'라는 영화에서 따온 별칭입니다.
Q. 관절염은 나이가 들어가면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나타나는 시기가 다른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사람마다 무릎의 안정성에 도움이 되는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근육의 양이 다르고, 무릎에 나쁜 쪼그리고 앉기라던가, 양반다리같은 나쁜 습관을 가진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릎에 통증이 없다면 계단이나 경사지 오르내림을 해도되지만 통증이 생기면 이런 상황들을 피해줘야하는데 그렇지 못함으로 인해서 골관절염이 진행하게됩니다. 물론 유전적인 소인도 작용을 합니다. 유전적으로 골관절염이 잘 생기지 않는 사람이 있고 취약한 사람이 있겠습니다. 그래서 남성보다 여성에서 골관절염이 더 잘 생기게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