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임종한 전문가
통영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심리상담
소아청소년과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청소년기에 발에 자극을 많이주면 오히려 키가 않클수 있나요? 뛰는거랑 줄넘기 같은거요
대면 평가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자극으로 인해 키의 성장이 촉진된다고는 하는데... 크게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안 하는 것 보다는 나을 듯 하고)-> 규칙적인 식사 및 수면 , 그리고 적절한 활동이 도움이 될 듯 하네요 나이가 들어서 지속적으로 척추에 무리를 주게되면 키가 작아질 수도 있을 듯 하고요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누워있다가 일어나면 두통이 생겨요
대면 평가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누워서 핸드폰을 하실 때 자세와의 관련성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목이나 어깨 부분의 근육경직 등으로 인한 긴장성 두통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듯 하네요 (CT / MRI 등으로 기질성 질환을 감별하셨다면)
이비인후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심한 코골이와 무호흡증상이 있어요?
대면 진단 및 평가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일단 체중감소와 옆으로 누워서 주무시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주무시기 전에 술이나 수면제 등을 피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너무 심하면 양압기를 사용해 보시고, 그래도 안 되면 수술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순서일 듯 합니다
내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대변을 볼때 피가 묻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대면 평가 및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휴지에 선홍색 피가 묻어나온다면 치질이나 치열 등 항문질환일 가능성이 높고 대장암 등에 대한 검사를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보통 위의 출혈이나 질환의 경우, 검은색 (혹은 선지) 변이 나오고붉은색 피는 보이지 않습니다 (소화기를 거치면서 , 색이 변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안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그림을 그리면 안구에 안좋을까요?
대면 평가/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과도한 핸드폰(전자 기기) 사용은 눈의 피로도/건조 등을 심화시켜 눈건강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그림을 그린다고 눈이 나빠지지는 않을 듯 한데...걱정하시는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만약 아이패드 등으로 그림을 그리신다면... 동영상 보다는 낫지만, 그래도 눈에 부담을 줄 것 같긴 합니다)
내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혈액순환이 잘 되면 제일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좋은점은 무엇일까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글세요... 일단 말초 혈액 순환이 잘되어 저림/차거움 등이 좀 나아질 수 있고성기능 관련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하네요. 가장 좋은 점은 심혈관계(협심증 등) 및 뇌혈관질환(뇌경색, 뇌출혈 등)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것 아닐까 싶네요
기타 의료상담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약먹고 얼마나 지나고 음주를 해야할까요?
대면 평가 및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약을 드신 경우라면 되도록 음주는 피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 간의 부담이 될 수도 있고, 컨디션 악화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피부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귀 아래쪽 턱에 딱딱한 여드름 어떻게 할까요?
대면 상담/평가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일단 소위 임파선 부종이 아닌지 감별이 필요할 듯 합니다 (여드름이라면) 항생제 복용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떠 오르지 않습니다. (항생제가 없다면) 충분히 익을?때까지 기다리셨다가 알코올 소독 후, 깨끗한 기구를 이용하여 짜는 것이 최선일 듯 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유방암 가족력이 있으면 유전자 검사시 이상이 나타나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몇 몇 유전적 경향성이 뚜렸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말씀하신대로, 정기적으로 암검진을 하시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싶네요
정형외과
2024년 2월 23일 작성 됨
Q.
요즈음들어서 손가락관절부위가 통증있고해서요
대면 평가 및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 개인적인 생각으론이건 병원 방문하여 , 관절 통증/변형의 원인부터 파악하시는 것이 우선일 듯 합니다 보통은 우선 투약을 하면서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할 듯 하네요
436
437
438
439
4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