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임종한 전문가
통영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심리상담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저의 증상은 정신과 진료를 받아야 하나요?
대면 진단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우선 내과 등을 방문하여 신체적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우선입니다.내과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하면,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으니 정신과 등 방문 상담도 고려해 볼 수 있을 듯 하네요 빠른 호전을 기원드립니다
내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생리통 약 자주 먹어도 몸에 해롭지 않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통증을 줄여주기는 하겠지만 그 정도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장기간 복용이 아닌 2-3일 복용이라면 별 문제 없을 듯 합니다만..간혹 투약으로 인해 다른 불편감 (발열 등)을 놓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하긴 합니다만..불편감이 심하시면 처음에는 산부인과 방문 상담 등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피부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손가락이 칼에 베었는데 연고 바르면 될까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우선 흐르는 물에 씻고, 소독 후에깨끗한 거즈 등으로 압박하여 지혈이 우선일 듯 합니다그리고 연고를 바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그 위에 반창고 등으로 드레싱을 하시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가만 두었을 때 ) 상처가 벌어진다면 , 병원 방문 봉합 시술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가 싶네요
내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혈압도 유전적으로 높을 수가 있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유전적 성향이 없는 병은 그다지 없습니다.혈압 / 당뇨 등도 개인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유전적 성향도 무시하지 못합니다 ㅠㅠ
이비인후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밑 입술 안에 빨간 물집 같은 게 생겼어요! 이게 뭔가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사진으로는 정확하게 안 보입니다만...,아마도 입술 점막의 상처 등이 아닐까 싶습니다만..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하네요 휴식을 취하고, 수분 섭취를 하시면서 변화가 있거나, 상처가 지속되면 병원 방문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피검사 종류가 많다고 들었는데 어떤 피검사를 해야되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보통은 말씀하시는 증상으로 듣고 관련 검사를 진행하거나 혹은 애매한 증상인 경우에는 흔한 병을 위주로 검사하게 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긴장을 하면 혈압이 높게 나오는건가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긴장을 하면 자율신경계(교감신경)이 항진되면서 혈관 수축 , 심장 박동/수축력 증가 등이 나타나면서 혈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내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급성요추염좌시에 계속 누워있는것이 좋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통증이 심할 때는 휴식이 최선입니다 + 따뜻한 찜질과 함께. 통증 지속 정도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겠지만정형외과 방문하여 평가 및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물 하루에 2L 마시는게 진짜 좋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1559#home참고하세요. 꼭 2L를 마셔야 한다는 것은 아닐 듯 하고 아마 더운지방의 전쟁 같은 특수 상황에서의 이야기 일 듯 합니다 목이 마를 때 충분하고 깨끗한 물을 마셔주면 별 문제 없습니다-> 신장 기능이 정상인 경우.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1월 30일 작성 됨
Q.
병원에서 검사를 했는데 통증이 있는 것 같아 불안해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나이 및 증상 등을 고려시에는 (특히 심장초음파 등 일반 검사를 진행하였다면) 비특이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높을 듯 합니다과도한 스트레스, 긴장, 불안 등으로 비특이적인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456
457
458
459
4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