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업비트와 빗썸의 비트코인 가격, 변동률이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가상자산의 경우 거래소 마다 체결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일 거래소로 운영되는 주식 시장과 다르고 제도권의 통제와 모니터링 하에 있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시기와 시점별 가격이 같을 수 없습니다.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대출이랑 신용카드는 못갚을시같겠지만 카드는연체안되게하려는데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기대출 이자와 원금을 갚지 못할 상황이면 신용회복위원회를 내방하시어 채무 조정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개인 워크아웃이나 신속채무조정 등 채무 현황, 성격, 소득 유무 등에 따라 컨설팅을 해줍니다.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환율은 언제까지 올라갈까요.힘든시기같은데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원화는 아쉽게도 미국의 달러 같은 기축통화도 아니고 유로화나 엔화 같은 준기축통화도 아닙니다. 원화 가치 유지는 결국 한국 경제의 건실함과 향후에도 지속해서 견실한 것이라는 시그널을 시장에 줘야 안정될 것 같습니다. 지난 긴급계엄으로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을 키운 정치적 리스크 극복도 필요합니다. 여러 난제들이 있으나 한국은 지난 IMF 금융위기까지 겪고 온국민이 극복한 바가 있습니다. 현재의 위기와 다가오고 있는 위기는 극복하는데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주식 상폐에 대한 기업은 대응이 부족하다라고 느끼는데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상장기업 주식이 상장폐지가 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주주 또는 경영진의 대규모 배임과 같은 불법 행위가 발생하거나 지속적인 실적 악화로 완전자본잠식에 빠져 있거나 유동성이 부족하여 부채를 갚지 못하는 파산 상태에 빠지는 등 회사의 지속 가능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단기간 내에 극복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정리 매매 이후 상장 폐지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피인수로 새로운 대주주가 상장 실익이 떨어져 정리 매매를 거쳐서 자발적으로 상장 폐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당연히 투자가들의 피해가 막심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금리를 왜자꾸 인하 하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한국 경제는 미국 같은 글로벌 초강대국과 같은 수준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기 힘든 구조입니다. 미국은 작년 5.5%에 달하는 주요 선진국들 중 가장 높은 금리를 유지하면 폭등한 물가를 제어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썼습니다.한국의 경우 3.5%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는데 점진적으로 금리를 낮추고 있습니다.말씀 대로 높은 환율, 외국인 투자가 이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경기 침체 보다는 더 낫다고 경제 당국이 생각한다면 일정 부분 희생을 감내하도서라도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수와 수출 경기가 회복할 경우 유동성이 돌고 수출로 인한 달러 유입으로 환율과 물가를 안정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경제정책은 의약품과 같습니다. 부작용이 없는 약이 없는 것처럼 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금리 인하나 인상 등을 단행하게 되고 코로나19 판데믹 처럼 극단적인 경기 위축이 발생할 경우 제로금리도 불사하고 시중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지지난 주 미연준의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의 여지와 명분은 생긴 셈입니다.
321
322
323
324
3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