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리를 왜자꾸 인하 하는건가요 ?
지금 미국보다 금리가 낮은데도 금리를 인하 하고있는데 정부는 무슨 생각인가요? 증시 외국인 이탈 심하고 환율도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데 나라 망하게 하려는건가요.? 도데체 왜 금리 내리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방어와 수출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려왔으나 현재 가계, 자영업자가 몰릴데로 몰린상황이라 아우성이 높습니다. 이번에는 저소득층이나 중산층 자영업자를 위한 금리인하로 여겨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시장의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와 투자가 줄고 있기 때문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는 기준금리를 내려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환율이 더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의 내수시장이 박살이 났기 때문에 이를 살려보겠다고 금리를 인하하고 있습니다.
서민경제는 금리에 민감한데 우리나라의 고금리로 소상공인들이 줄폐업하고 신용불량자도
크게 늘어 이를 보완하고자 금리를 내렸습니다.
이렇게 내린 이유는 미국이 내년에 금리를 최소 4회 인하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현실은 인하의
속도조절을 하고 내년에 2회정도의 인하만 예고한 상황이기에 환율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금리를 내려서 물가를 희생해서라도 GDP 성장 및 경기 부양을 하겠다는 입장인데, 이 한은의 금리 인하가 과연 국민들 삶의 수준을 보다 좋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라 할 수 있습니다. 국가는 개인이 부자되는 것에 관심이 없죠.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 경제는 미국 같은 글로벌 초강대국과 같은 수준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기 힘든 구조입니다. 미국은 작년 5.5%에 달하는 주요 선진국들 중 가장 높은 금리를 유지하면 폭등한 물가를 제어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썼습니다.
한국의 경우 3.5%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는데 점진적으로 금리를 낮추고 있습니다.
말씀 대로 높은 환율, 외국인 투자가 이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경기 침체 보다는 더 낫다고 경제 당국이 생각한다면 일정 부분 희생을 감내하도서라도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수와 수출 경기가 회복할 경우 유동성이 돌고 수출로 인한 달러 유입으로 환율과 물가를 안정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정책은 의약품과 같습니다. 부작용이 없는 약이 없는 것처럼 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금리 인하나 인상 등을 단행하게 되고 코로나19 판데믹 처럼 극단적인 경기 위축이 발생할 경우 제로금리도 불사하고 시중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지지난 주 미연준의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의 여지와 명분은 생긴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 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야 정상이지만, 현재 기이한 현상이 꽤 오래 이어지고 있는데요. 미국과 기준금리 기조를 따라가야 한다고는 하지만, 말씀해주신대로 환율이나 수입물가를 생각하면 기준금리를 더이상 인하하면 안될 것도 같으면서도 반대로 고금리를 오래 유지한 측면이 자영업자와 기업, 개인 등의 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의견도 있어서 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상이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를 인하해야 타국과의 흐름을 맞춰 나갈 수 있는 것이며, 만약 타국에서는 금리 인하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금리 인하를 하지 않으면, 금리차이로 인해, 시회의 혼란을 야기할 수 도 있기 떄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내수경기가 너무나 좋지 않기에
이에 따라서 금리를 내림으로써
경기를 부양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금리 인하를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금리 인상을 했던 요소들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결정하고 천천히 인하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