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은 언제까지 올라갈까요.힘든시기같은데요
모든 경제상황이 어려운 상황입니다.이러누난국에 어떠한 경제정책으로 위기를 돌파항수있을지 생각을 듣고싶습니다.창의적이거나 획기적인정책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들의 투자가 많이 빠지고 국내인들까지도 뺏다고 합니다. 기타국가들보다 좋은조건도 없는 상황인데
탄핵, 정치불안, 안보불안이 해결되면 저점이기 때문에 오히려 들어올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치적인 불안감 등도 있고
더불어서 현재 전세계적인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기에 이에 따라서 환율이 언제까지 올라갈지는
알 수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을 방어하려면 미국이 금리를 더 내리거나 우리나라가 올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완전 정반대의 상황이기에 환율이 급등하고 있고 여기에 정치적인 불안정이 더해지며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트럼프 2기는 향후 강달러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은 더 치솟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서 창의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면 누군가 달러로 원화를 많이 매수해줘야 하는데 이는 기업의 희생을
강요하거나 외국인 투자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 방법으로 적대적 m&a도 허용을 해줘서 외국인 자본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하락을 의미하시는 것이지요? 환율의 하락은 내년 상반기가 지나야 될 것 같은데, 그 사이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동결되어야 할 것입니다.(미국 기준금리는 인하) 또한, 현 탄핵정국이 종료되어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원화는 아쉽게도 미국의 달러 같은 기축통화도 아니고 유로화나 엔화 같은 준기축통화도 아닙니다. 원화 가치 유지는 결국 한국 경제의 건실함과 향후에도 지속해서 견실한 것이라는 시그널을 시장에 줘야 안정될 것 같습니다.
지난 긴급계엄으로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을 키운 정치적 리스크 극복도 필요합니다. 여러 난제들이 있으나 한국은 지난 IMF 금융위기까지 겪고 온국민이 극복한 바가 있습니다. 현재의 위기와 다가오고 있는 위기는 극복하는데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전문가들 예상으로는 내년에 1500원 초반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다만 뚜렷한 대책은 없습니다. 혹시나 나는 구성은 낮지만 미국과 외환 스와프을 체결하면 좋아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어디까지 상승할지 알수없습니다. 다만 1500원까지는 가지않을까 싶고 더 이상올라간다면 국내경제나 주식, 전반적으로 피폐해질것이라 생각합니다. 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