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예금자 보호법은 나라에서 해주는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자보호법에 의해 1인당 전금융권 통틀어 원금과 이자를 합쳐 5천만원까지 보호를 해줍니다. 말씀 대로 국가에서 보호 해주는 것이고 금융사별로 보호 해주는 게 아니라 전금융사 통틀어 5천만원까지입니다.현재 보호 한도액을 1억원꺼지 높이는 법안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적금을 넣을때 몇년으로 하는것이 가장 가성비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금리 하락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사실 가장 좋은 것은 인당 5천만원씩 예금자 보호가 되는 1, 2금융권 특판적금이나 정기예금에 가입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2~3년 이상 할 경우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으나 향후 금리 수준이 어떻게 될지 예측 하기가 힘들고 변동 금리로 갈 경우 높은 금리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검색품을 좀 팔더라도 전국에 걸쳐 특판예적금을 5천만원 이하로 1년 단위로 알아 보실 것을 권합니다.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환율이 올라간다는게 물가상승과 같게 움직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환율과 물가의 관계는 1:1의 양의 관계 또는 음의 관계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한국 경제가 주로 글로벌 교역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환율은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령, 특정 시점에 미달러 대비 환율이 높다는 것은 수입물가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높은 환율은 물가를 끌어 올리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환율이 요즘처럼 점진적으로 내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물가가 내려간다고 할 수는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수입 시 더 싸게 재화를 매입할 수 있으나 구매력이 증가해서 소비가 더 늘어날 수 있어 가격 하락을 억제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경제 내 물가는 매우 복잡한 요소가 상호 작용하면서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글로벌 물가 수준이 올라가면 덩달아 올라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 경제는 대외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최근 경제침체 위기가 많이 고조되고 있는데 더블딥리세션이라는 현상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더블딥리세션(double deep recession)은 경기침체에서 경기가 점차 회복 중에 다시 경지 침체에 빠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유럽의 경제가 예전과 같지 않은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유럽경제는 수십년 째 저성장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유로존의 경우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의 남유럽 재정 위기가 현재 진행형이고 2020년 연초 영국의 탈퇴로 독일과 프랑스가 견인하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미국에 비해 명확한 성장 동력이 없는 저성장 구조가 지속되고 있고 EU 국가 내 경제력 차이가 심해 단일 통화 경제 권역을 균질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456
457
458
459
4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