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상장폐지된 주식을 삭제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상장 폐지된 회사의 주식이라도 청산을 통해서 해당 주식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계좌에 남아 있게 됩니다. 계좌 유지에 비용이 들지 않고 해당 계좌로 거래 할 의향이 없으면 그냥 두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상장 폐지된 주식도 개인간 거래를 통해서 이체하여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상폐된 주식 거래는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면 거래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삼성전자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20% 이상입니다. 즉, 이론적으로 삼성전자 주가가 1% 올라가면 다른 종목 주가가 변동이 없다면 코스피 지수가 0.2%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실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삼성그룹 전체로 보면 약30%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국내 주식 시장에서 삼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정책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금리인하를 결정하는 요소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현대 경제에서 주요한 금융/재정 정책 수단 중에 하나인 기준 금리 결정은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이 되었습니다. 우선 시중 유동성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고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현황 파악이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의 금리 수준 결정은 2021년 3월 코로나19 판데믹으로 미국 등 주요국들의 기준 금리는 거의 제로 수준이었습니다. 경제 활동 자체가 얼어 붙어서 시중에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고 공급된 유동성으로 경제활동에 대한 활성화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조치가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원 등이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시중에 막대하게 풀린 유동성은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을 급격히 끌어 올렸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과 미중 무역 전쟁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물가 수준을 크게 끌어 올렸습니다. 급격히 진행된 금리 인상으로 시중 유동성을 상당 부분 흡수했고 자산 가격의 상승은 거의 멈추었고 물가도 어느 정도 제어가 되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작금의 글로벌 주요국의 이슈는 경치침체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높은 금리 수준을 낮춰야할 필요성이 생겼고 이는 코로나19 판데믹 시 금리를 급격히 낮췄던 때를 고려하면 일맥 상통합니다.
자산관리
2024년 9월 5일 작성 됨
Q.
재테크 공부 중에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개괄적인 메커니즘을 이해 하셔야 합니다. 즉, 경제학 공부를 가장 우선적으로 하셔야 하는데 유투브에서 경제학 개론이나 기본 서적을 구매 하셔서 보시고 많은 재테크 분야 중 어떤 분야에 집중할 것인지 선택을 하시는 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은 시드머니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초기 재테크 자본금을 얼마나 할지도 결정이 필요합니다. 주식 투자는 작게는 백만원 내외로도 시작할 수 있으나 부동산 투자의 경우 수천만원에서 수억원 이상의 초기 자본금이 필요할 수도 있고 대출 같은 레버러지도 고려해야할 수 있습니다. 우선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기본적인 작동원리부터 파악하시면서 관심 있고 잘할 것 같은 분야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경제정책
2024년 9월 5일 작성 됨
Q.
정부개입이 실패하지 않기 위한 조건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자본주의 현재 경제에서 정부 개입의 실패를 막는 전제 조건을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사실 가장 중요한 정부 개입의 정당성은 해당 분야의 국민 후생입니다. 가령, 인프라 또는 유틸리티 관련 비용과 사용료가 너무 높으면 국민 후생이 훼손될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을 정부가 개입하여 경쟁을 유도하거나 가격을 조절하면 국민 후생 유지와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지하철 요금을 일시에 20% 이상 올리게 되면 부담이 될 수 있고 국제 유가나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해도 전기세 인상을 어느 정도 선에서 억제하는 등의 조치가 정부 개입의 정당성을 얻을 수 있고 국민 후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례입니다. 자본주의 자유경쟁 체제 하에서 나라 경제가 운영되고 글로벌 교역을 하나 서민이나 사회적 취약 계층의 생활 기본권에 해당하는 부분은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491
492
493
494
4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