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알고리즘 활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메타버스 플랫폼 내 아바타 행동 분석 방법론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론은 아래와 같습니다.1) 데이터 수집 기반 분석아바타 행동 로그 추적 > 아마타의 이동 경로, 상호작용 빈도, 체류 기간 자동 분석대화 텍스트 마이닝 > 채팅 로그에서 감정 키워드 등 추출해 질투/만족도 점수 등으로 환산2) AI/머신러닝 모델 활용행동 예측 모델링 > LSTM(장기 기억, Long Short-Term Memory models)/RNN(순환신경망, 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활용해 아바타의 이동 궤적, 소비패턴 학습 후 향후 행동 예측비정상 행동 감지 > GAN을 이용해 일반적인 행동 패턴과 비교해 어뷰징 탐지3) 사용자 맞춤형 분석아바타 커스터마이징 데이터 연계 > 외모 관리 행동과 아바타 동일서 정도에 대한 상관 분석 등개인화 모델링 > 사용자 행동 데이터(로그인 시간, 친구 수 등)를 기반으로 캐릭터 성장 알고리듬 설계이상이며 그 밖에 혼합 연구 방법론, 실시간 모니터링 도구(볼류메트릭 캡쳐, 경제 활동 추적 등), 프레임워크 활용 등이 있습니다.
Q. 최근 논의되는 기본소득제 도입이 실제 국민 경제에 끼칠 수 있는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 UBI)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장점빈곤, 소득 불평등 완화사회적 안전망 강화 및 소득 안정성 제고노동 선택의 자유 확대 및 협상력 강화 > 기본소득 덕분에 생계 압박이 심하지 않아 더 나은 일자리 추구행정 효율성 및 낙인 해소 > 복지 수급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완화건강, 교육 및 사회적 효과 > 의료비, 교육비 증가로 범죄 및 가정폭력 같은 사회적 문제 완화2) 단점막대한 재정 부담 > 기존 복지 축소 없이 지속 가능성 떨어짐근로의욕 저하 및 노동력 감소 우려복지 사각지대와 불평등 심화 가능성 > 고소득층에도 동일하게 지급되어 맞춤형 복지 축소에 따른 취약계층 지원 감소될 가능성정책 효과의 불확실성사회적 합의 및 제도 설계 난해 > 지급 기준, 재원 조달, 기존 복지와의 상충 등 사회적 합의가 매우 어렵고 설계에 따른 효과가 크게 달라져 지속적 논란을 부를 가능성이 큼
Q.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기술발전이 빠르고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산업기술 수준은 미국을 100으로 봤을 때 88 정도로 평가됩니다. 일본은 92.9, EU는 93.7로 중국의 83 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과의 기술격차는 약1년 정도로 평가됩니다. 분야별로 디스플레이, 2차전지, 조선 & 에너지 선박 및 콘텐츠 분야 등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차세대 항공, 3D 프린팅, AI 등 첨단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미흡합니다. 문제는 중국 등이 맹추격 중으로 저부가가치 제조업은 이미 중국으로 경쟁력이 넘어 갔고 AI, 드론 같은 분야에서는 오히려 중국에 뒤진다는 평을 듣고 있습니다. 향후 바이오, AI, 우주방위 산업 분야는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으나 보다 많은 투자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