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코인 거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환전과 수수료 이슈가 있어서 김치 프리미엄 등이 있어도 수익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구조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나, 해외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으로 구매 후 국내 거래소 지갑으로 이동한 가격 차이만큼 수익을 창출하려는 모델이 과거와는 달리 실익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예금·적금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price)것도 결국 수요와 공급의 문제입니다. 가격이 올라가는 물가 상승은 공급 보다 수요가 많을 때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물가를 제어 하기 위해서 미국 등 주요국들이 금리를 일제히 올렸는데 이는 금리 인상을 통해서 가처분 소득을 낮춰서 수요를 억제하여 가격을 끌어 내리는 효과를 기대한 것입니다. 물론, 필수재의 경우 가격이 올라도 사야하니 그럼에도 절약을 하면서 수요을 줄일 것이라는 기대가 금리 인상 정책 입안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생각들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주식과 채권은 반대관계인가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공채는 일반적으로 안전자산 취급을 받고 주식은 대표적인 위험자산입니다. 경제 상황이 어느 정도까지는 채권과 주식의 수요가 반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가 명확해졌을 경우 주식과 채권의 가격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한방향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경제동향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한미 금리 동조화 현상이 생기는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시장이 압도적인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끼치고 있고 한국 경제는 미국 경제 의존도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금리 뿐 아니라 주가나 경기 상황도 미국과 동조화될 수 밖에 없는 한국 경제 구조입니다. 다만, 근래에는 미국만큼 경제가 회복되거나 주가가 상승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미국의 자국 중심의 경제 운영이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경제와 가장 크게 동조화된 국가는 일본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증권시장에서 프로그램매매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로 기관 투자가들이 주로 운영을 하며 현물과 선물 등을 결합한 헷징 기능과 무위험 거래(재정 거래) 등을 미리 셋팅 해 놓은 알고리듬으로 거래를 하게 되고 꽤나 거래량과 규모가 커서 시장을 좌지우지하기도 합니다.
771
772
773
774
7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