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024년 3월 31일 작성 됨
Q.
국민연금을 앞으로 30년 뒤에 받을 수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은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재원 고갈이 거의 필연이라 문제가 되고 있으나 기존 불인 연금을 국가가 떼어 먹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듯합니다. 다만, 지급 연령, 불입 및 지급 금액은 점진적 조정이 불가피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3월 31일 작성 됨
Q.
금값시세가 어떠할 때 오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의 성격을 먼저 이해 하시면 상황 해석이 편해 집니다. 금은 오랜 역사를 가진 가치 저장 수단이나 위험 회피 자산이며 귀금속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이 가진 금속적 특징이 상당 부분 기여를 했습니다. 금은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하거나 금융 위기 등의 급격한 상황 변경 시 상승하고 적절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때에도 상승하기도 합니다. 현재 금값 상승은 글로벌 고물가로 인한 경기침체, 여러 대내외 리스크 때문에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3월 31일 작성 됨
Q.
투자자가 증권사를 통해서 TRS를 체결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TRS는 Total Return Swap입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총수익스와프로 번역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스와프 거래는 위험을 상호 교환하며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헷징하는 것입니다. 가령, A사 발행한 회사채가 있고 B사가 이를 매입하게 됩니다. 이때 B사는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여 원금 이하로 내려갈 수 있는 매우 희박한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서 C사에 해당 리스크에 대한 계약을 체결 후 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자산 매입 한도를 꽉 찬 투자자를 대신해 증권사 등이 해당 기초 자산을 대신 매입하여 해당 기초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과 리스크를 모두 투자자에 귀속시키고 소정의 수수료를 투자자에게 받는 헷징 파생상품입니다. 이때 투자자는 매우 적은 자금(지급 수수료 내외)으로 자산을 보유한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레버러지 효과를 일으켜 엄청나게 많은 기초 자산을 보유한 것처럼 이자와 자본 소득을 추구할 수 있어 헷지펀드가 많이 사용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3월 31일 작성 됨
Q.
'행동주의 펀드'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존 펀드와 달리 행동주의 펀드는 피투자사의 주요한 경영상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미국의 짐 애크먼이라는 투자가가 대표적인 행동주의 펀드 운영자이며 국내에는 장하성 펀드 등이 유명합니다. 장단점이 있는데 오너 기업들이 많는 국내 대기업과의 갈등과 분쟁이 많은데 주주 중시, 투명한 지배구조 측면 등에서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3월 3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아서 수출이 줄어든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조선, 화학, 철강 등 주력 품목들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줄어서입니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물가의 영향이 큽니다.
771
772
773
774
7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