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기준금리 인상에 관해 궁굼해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일 한국은행이 금리를 0.25% 인상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인 2.5%와 같아졌습니다. 그러나 미연준의 9월 FOMC 회의 때 0.5% 인상이 유력하여 9월이면 다시 금리 역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처럼 한국은행이 한 번에 0.5% 이상 금리를 인상할 것 같진 않고 올해 2~3 차례 이상 0.25%씩 금리 인상이 예측됩니다. 아울러 금리인상을 멈추고 인하 하는 시점을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습니다. 글로벌 경기가 거의 시계제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내년 초 정도는 되어야 향후 한국 경제와 글로벌 경제의 향방에 대해서 알 수 있을 듯하고 대다수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가 내년 하반기부터 침체기에 들어갈 것이라고 합니다. 그럴 경우 그간 올려 놓은 금리를 유지하거나 일부 내리면서 경기 부양에 재차 나설 수도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이 베이비스텝에 머무른 이유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오늘 한국은행이 말씀하신 베이비스텝 수준인 0.25% 정도 인상했습니다. 한국도 미국처럼 물가상승에 고통 받고 있으나 거대한 시장을 가지고 있고 압도적 기축통화국이 아닌 한국은 경기침체를 더 우려하는 듯합니다. 또한 한국은행 기준금리 보다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의 기준금리에 더 크게 반영합니다. 그만큼 영향력이 낮아 미국처럼 짧은 기간 내에 급격히 금리를 올릴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 듯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달러가 최근들어 급등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미달러화 가치 급등은 미연준의 금리인상 기조와 경기침체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 보조 기축통화인 유로화, 엔화의 동반 약세에 기인합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달러와 달러표시 자산은 글로벌 경제 위기가 있을 때마다 급등했습니다. 아울러 유럽의 에너지 위기 등으로 유로화도 최근 10년래 가장 낮은 통화가치를 보여주고 있고 국제 교역 비중이 큰 엔화도 경기 침체 우려로 가치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원화 가치 하락은 수입물가에 부담을 주고 유로, 엔화 동반 가치 급락으로 수출 경쟁력에는 크게 도움이 안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주식 시장은 외국인 매도가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시중 달러 수요가 더 증가하여 원화 환율 상승을 추가로 압박하고 있습니다. 여러 모로 위기의 때로 판단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금리인상시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이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연준의 금리인상 크기에 따라 0.25%는 일반적인 금리 변동 폭을 나타내며 베이비 스텝이라 하고 0.5%는 빅스텝, 0.75%는 자이언트 스텝이라고 통용하여 부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2.5%이고 한국의 기준금리는 2.25%로 0.25% 미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습니다. 이른바 금리가 역전된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미달러화 표시 자산은 글로벌 최고 안전자산으로 취급을 받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한국 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 자금 이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한국 금융시장에서의 기대수익률과 미국 금융시장의 기대수익률 차이가 있으나 요즘처럼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기에서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 미국의 금리 인상은 자산 이동이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공모주는 보통 처음가격보다 높게형성되서 거래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모주는 상장전 수요 조사를 통해 최종 주당 공모가를 결정합니다. 결정된 공모가로 상장을 하게 되며 오전 9시 개장 전 동시호가에서 공모가격의 90%에서 200%까지 형성 후 장이 시작되면 알려진 바대로 +-30%의 가격까지 상승 또는 하락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주당 공모가격이 10,000원이면 동시호가에서 200% 상한까지 가격이 결정된 후(일명 "따") 20,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하여 상한가에 거래를 마감하면 26,000원(일명 "따상")이 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의미?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영업이익은 매출-매출원가-판매관리비를 제하고 남는 이익으로 회사 본연의 사업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남겼는지 보는 것이고 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 비용(이자비용 등)과 영업외 수익(이자수익 등)을 제하고 더해서 구한 세전이익이 있고 여기서 법인세를 제하면 세후이익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배당 후 순이익을 일반적인 당기 순이익(Net Income)이라 합니다. "매출-매출원가-매출이익-판매관리비-영업이익-영업외 비용+영업외 이익-법인세 차감전 이익-법인세-법인세 차감후 이익-배당-순이익"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미국의 금리인상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씀대로 오는 9월 FOMC 회의에서 미연준은 0.5%의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있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0.75% 급의 자이언트 스텝을 예고했으나 빅스텝급으로 수준을 낮출 것이라 합니다. 그 전에 미국 경제와 글로벌 경제의 현황과 운영 기조를 예측할 수 있는 잭슨홀 미팅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여기서 나온 여러 의견과 결정 및 합의 사항이 향후 글로벌 경제 향방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300070?sid=101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지금 원달러 환률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근래 달러의 초강세는 미연준의 크고 빠른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가능성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현상, 유럽의 에너지 위기로 인한 보조 기축통화인 유로화 약세와 엔화의 동반약세에 기인합니다. 유로화 가치는 출범 이후 2000년대 남유럽 재정 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원화만 달러 대비 평가절하 된 것이 아니라 유로화와 엔화도 마찬가지 양상입니다. 물가 제어를 위한 미연준의 금리인상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고 우크라이나발 에너지 위기도 단기간 내에 실마리를 풀지 못할 것 같습니다. 특히, 에너지 수요 성수기인 가을과 겨울철에는 소위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유럽의 에너지 위기가 세계경제에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의 러시아 재제로 로시아는 유럽향 거스관을 닫아 버렸습니다. 유럽은 값싼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의지에 난방과 전기 생산을 했는데 천연가스 가격이 10배 가까이 상승하여 전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말씀대로 겨울이 오면 천연가스 부족은 더욱 심각한 상황을 불러 올 둣합니다.당연히 천연가스의 대체재인 원유 가격도 경기침체 우려에 최근 하락 추세이나 겨울철 성수기가 오면 재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의 에너지 위기는 사실 자초한 측면이 있습니다. 프랑스, 독일 등은 겉으로는 미국 등 서방측에 서면서 러시아의 값싼 천연가스를 도입하기 위해 직배관을 구축했습니다. 이게 독이 되어 현재와 같은 위기가 닥쳤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이 우선 시급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대체 에너지와 식량 수급 다각화에 힘써야할 듯합니다. 향후 유럽 경제위기의 가능성은 예단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추세와 미국 경제의 연착륙이 가징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8618628638648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