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돈을 안전하게 경제적으로 모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익과 위험의 크기는 거의 비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신다면 위험이 큰 자산에 투자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목표 금액을 1억원으로 셋팅하셨다면 매월 불입 가능한 현금 수준을 파악하시고 언제 1억원을 모을 것인지 기간 또한 목표로 세우셔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자산의 포트폴리오를 2개 또는 3개로 나눠서 시뮬레이션 해 보실 것을 권해 드립니다. 가령, 50:50으로 안전자산(예적금, 원금 보장 펀드 등), 위험자산(주식 직접 투자, 주식형 펀드 등)에 분배하여 복리로 수익률을 계산하여 목표 기간을 점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엑셀로 간단히 진행 가능하며 안전자산은 연목표 수익률을 3%에서 5% 내외, 위험자산은 10% 내외로 셋팅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주식에서 선물은 어떤식으로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투자방법)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선물은 영어로 "Futures"라고 표현합니다. 미래 가격에 대한 리스크 회피(헷징)가 선물의 탄생 배경이나 요즘은 리스크 회피 보다는 몇 배에서 수십, 수백 배 레버러지를 일으켜 투자를 위한 투자상품 시장의 규모가 훨씬 더 큽니다. 선물은 기초 자산(주가지수, 각종 현물 등)의 미래 가격 상승(call), 하락(put)에 배팅합니다. 일반적으로 기관 투자가나 펀드는 주식, 채권 같은 선물과 가격 변화 리스크 헷징을 위해 선물 상품을 투자하여 목표 수익률을 셋팅합니다. 다만, 리스크를 지고 투기 성향이 강한 투자가의 경우 선물 비중을 높여 보다 높은 목표 수익률을 지향하는데 이럴 경우 당연히 더 큰 시장 리스크에 노출됩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가는 높은 레버러지, 변동성 등으로 선물 투자로 수익을 내기가 매우 힘듭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가격과 작은 가격 변화에도 높은 레버러지 때문에 수익과 손실의 크기가 엄청나기 때문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전세계적으로 물가상승이 심각한 문제인데...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글로벌 물가 상승은 어느 정도 예견된 하였습니다. 코로나19 판데믹이 시작된 2020년 3월 이후 중국, 미국, 한국, 일본 등 주요국들은 자본 투자를 일시적으로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고 이는 물류망 경색, 반도체 등 핵심 부품 부족으로 전기전자, 자동차 등의 내구제 완제품 공급 차질은 올해 연초까지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주요 식자재와 에너지 공급원이었던 두 국가로 인해 에너지발 인플레이션까지 겹쳤습니다. 당연히 세계에서 손꼽히는 제조업과 물류 인프라가 있는 상하이 봉쇄도 치명적이었습니다. 현재 최악의 시점은 지난 듯합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가 생길 경우 경기는 반등할 가능성이 크고 대표적인 주가는 서둘러 상승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물가는 에너지 성수기가 시작되어 당분간 점진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