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금리와 주식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와 주식은 직접적인 관계라기 보다는 간접적인 관계로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금리는 위험(=risk)의 크기, 요구수익률, 기회비용 등으로 달리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준 금리를 올리면 대출 & 예금 금리가 올라갑니다. 이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부르고 작은 금리 차이에도 큰 규모의 펀드를 운영하는 회사의 경우 금리 인상 시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일부 조정하게 됩니다. 이때 주식 등 위험 자산을 매도하게 됩니다. 이는 자산, 펀드 운영 시 다소 기술적인 측면이고 근래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것은 지난 2~3년 간 유동성 장세가 마무리 되며 조정 단계에 있고 그 조정의 구실이 금리 인상, 시장 불확실성 및 인플레이션 등 주요 경제 지표 악화 등입니다. 주식은 6개월에서 1년 이상 선행 지표로 현재의 주가 지수가 하락 추세에 있다는 것은 향후 6개월에서 1년 이후 경제나 경기가 좋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의 반영입니다. 특히, 주가지수를 끌어 내리는 주요 종목들은 이른바 기술주들입니다. 기술주들은 현재 또는 가까운 미래의 실적 보다는 다소 먼 미래의 실적 기대치가 주가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현재와 미래의 경제 상황이 나쁘고 금리 인상과 긴축 같은 시중 유동성 흡수 정책을 미국 등 주요국들에서 시행하게 되면 미래 기대치 보다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실적을 중요 시하고 기술 기업들 특성 상 지속적으로 투입 되어야 할 투자금 감소를 불러 오게 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이런 비상장 주식이 진짜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바이오 주식은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대박이 될 수도 쪽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선 나스닥 비상장 주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요 시장 상장 전이라면 미국 등 주요 국들에는 OTC(Over the Counter, 장외시장) 시장이라는게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코넥스 시장에 해당합니다. 만약 OTC 시장에 상장 되어 거래 중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주주에 유상 증자 관련 주당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요? 주당 만원에 유상증자인데 상장 시 150만원을 상회 한다면 그런 회사는 이미 유명한 회사이고 일반 개인 주주 대상 증자를 할 필요 없습니다. 국내외 대형 기관 투자가나 펀드가 줄을 서서 투자를 원할 것입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해 주신 내용 대로라면 엄청나게 부풀려진 기업 가치 하에서 투자 유치 활동을 하거나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 소견은 후자입니다.이상 간략히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재산을 부동산과 동산으로 왜 나눌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동산(tangible asset)과 부동산(intangible asset)은 자산을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나 짧은 기간 처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분리했느데 기준이 다소 모호할 때도 있습니다.대표적인 부동산은 토지와 건물입니다. 이에 반해 부동산은 현금, 채권 등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최근 금리 인상의 폭이 크다고 함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주식 같은 위험 자산에는 악재입니다. 그러나 주식은 대표적인 선행 지표인데 금리 인상이 예상대로 0.5% 인상 되어 불확실성이 해소 되었다는 측면에서 안도 랠리를 한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금리가 인상 된다면 증시는 조정이 되겠으나 이미 주가에 반영 되었다고 한다면 금리 인상과 긴축 이후의 경기를 보고 주가는 방향을 정하게 됩니다. 이상 간략하게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기회비용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회 비용은 영어로 'opportunity cost'라고 하며 여러 의사 결정이 가능한 때에 특정 의사 결정을 할 경우 다른 의사결정을 했을 때의 기회를 읽어 버리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거의 모든 의사결정이 따라 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령, A라는 투자 의사 결정을 했을 경우 다른 B 투자에 따른 기대 수익은 A 투자에 따른 기회 비용이 됩니다. A 투자에 따른 수익이 B 투자에 따른 예상 수익(=기회비용) 보다 높아야 합다. 개인의 선택에 따른 것도 기회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까페에서 아메리카노를 선택할 경우 다른 메뉴의 비용과 편익 등을 고려해 최선의 선택으로 개인은 판단합니다. 이처럼 모든 선택에는 기회 비용이 따라 다닙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러시아가 디폴트를 선언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가 파산도 기업 파산과 비슷합니다. 다만, 질문자님 말씀처럼 국가 파산은 기업 파산과 달리 파산 이후 해결 방안이 다양하고 리스크는 좀 더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가령, 만기 시 채무 이행을 못한 채권의 경우 다른 채무와 상계처리 할 수도 있고 금전이 아닌 천연자원, 무기류 등으로 대신 채무를 이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자를 탕감하거나 원금을 일부 또는 전부 탕감해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국가간 거래를 고려한 것이고 마냥 채무국도 빚을 갚지 않고나 탕감을 원하기는 힘듭니다. 국가 신용 등급이 하락할 경우 해당국 기업들의 금융 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는 각각 어떤 의미하며,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상장된 거래소입니다. 코스닥 미국 나스닥을 벤치마킹 하여 1996년에 개장한 기술주 중심의 거래소입니다. 코넥스는 2013년에 개장한 비상장 주식 매매 거래소입니다.코스피와 코스닥은 상장 조건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코스닥 상장 심사가 코스피 보다는 덜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장을 원하는 기업의 경우 바로 코스피로 가는 경우도 있고 네이버처럼 코스닥을 거쳐 코스피로 이동 상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환율상승에 따른 외국인 주식 투자자들의 성향은?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 주식, 채권 등 원화 표시 금융 자산 매도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긴축 등의 영향이 큽니다. 美연준의 기준 금리 인상은 글로벌 펀드의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는 포트폴리오 조정 니즈를 부릅니다. 주식 비중도 줄이게 되는데 한국 주식 시장은 미국 등 주요국 주식 시장 대비 위험도가 높아 일정 부분 매도를 하며 현금을 보유하거나 위험이 좀 더 낮은 주식 시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와중에 외국인 투자가들의 원화 표시 주식이나 채권을 매도하고 달러를 환전 하게 되면 외환 시장에 원화 공급은 늘어나게 되고 달러 수요가 증가하여 美달러 대비 원화 환율을 상승(=평가절하, 가치 하락)하게 되고 환율 상승은 한국 주식 매도 의향이 없었던 외국인 투자가들의 추가 매도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환율 상승에 따른 미실현 환차손이 발생하게 되어 추가적인 환율 상승이 예상될 경우 추가 매도를 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사회초년생인데 신용카드 발급, 언제부터 가능한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성인에 회사 입사로 급여 생활자가 되었다면 신용카드 발급에 문제가 없을 듯합니다. 적금 가입에 신용카드 발급이 필요하다는 것은 낯선데 한 번 더 알아 보시기 바랍니다. 우체국은 자체 신용카드 사업 부문이 없으니 타신용카드 사와 제휴하여 진행하는 프로모션 적금 상품으로 보입니다. 해당 제휴 신용카드 발급과 매달 사용금액 조건도 있으니 체크 한 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검색을 해 보니 아마도 아래 우체국 - 신한카드 제휴 적금 상품 같아 보입니다.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2/04/18/MS7QOYPJEFFPVABUY4QHA5VK4I/?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사람들의 소비지수가 높으면 국가 경제력이 좋다고 할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소비자 지수 급등은 코로나19로 인해 억제되었던 소비 욕구가 분출한 보복 소비 즉, 기저효과에 기인합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경색으로 미국 내 리테일 업체들의 재고 부족도 소비 욕구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습니다. 소비지수는 기준 연도 지수를 100으로 하고 +-로 계산하는데 소비지수 자체로 해당 국가 경제력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인당 GDP나 환율과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PPP(Purchase Power Parity)로 비교하셔야 합니다. 아래 PPP 관련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1분기 기준 한국은 25위이고 일본은 27위입니다. 미국은 7위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https://namu.wiki/w/1%EC%9D%B8%EB%8B%B9%20PPP%20%EC%88%9C%EC%9C%84
8968978988999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