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세무사입니다.
세무사입니다.
문상철 전문가
한국세무사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3월 29일 작성 됨
Q.
상속 및 증여세의 세금납부 금액은 어느정도 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자산을 주는자가 사망을 원인으로 하면 상속이고 살아생전 무상대가로 준다면 증여입니다.부모님이 돌아가셔서 15억 상당의 아파트를 받으면 상속세 납부 대상인 것입니다.일반적으로 상속세는 5억까지 공제되어 세금이 없습니다.그밖의 공제항목이 너무 많이 때문에 질문자가 어떤공제가 적용되는지 알 수 없어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수 없지만현 상황으로만 보면 5억초과분인 10억에 대해 상속세 납부 의무가 생기십니다.증여세는 자산적 가치가 있는 것의 무상이전에 대한 과세입니다.자동차가 시세 7500만원이라면 현금 7500만원을 주고 사는것과 다를바가 없어 증여로 보게됩니다.원칙적으로는 증여세신고/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2021년 3월 29일 작성 됨
Q.
형제와 조카에게 증여시 세금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4촌이내 인척, 6촌이내 혈족에게 증여시 1000만원까지 공제가 됩니다. 그리고 1억까지 세금은 10%가 부과됩니다.형, 형수, 조카3명에게 각각 5천만원씩 증여를 하는 경우 4000만원에 대해 10%인 약 400만원 정도의 증여세가 각 수증자 앞으로 부과됩니다.기한내 신고시 3% 세액공제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3월 29일 작성 됨
Q.
소소한 궁금증에도 답해주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답변은 달리겠지만 그 신속성에 의문이 듭니다.네이버에 굿택스라고 세무회계 직원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페가 있습니다.그곳을 활용하시면 더욱 신속한 답변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다만 전문성과 정확성을 생각하신다면 세무사가 직접 답변을 다는 이쪽에 질문을 남기시는게 좋습니다.
2021년 3월 29일 작성 됨
Q.
간이과세사업자가 일반과세사업자로 변경하고나면 꼭 세무사를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무래도 일반 개인들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비용인지 아닌 비용인지 몰라 돈을 썼다고 하면 부가세든 소득세든 무조건 비용처리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이는 신고오류로 원래 냈어야하는 세금보다 과다 비용처리하여 세금을 적게 낼 수도 있습니다.이런 행태가 각 세무서에서 발견되면 5년치 조사, 추징될 수 있고 이런경우 과소신고 세액의 10%이상의 가산세가 추가 고지됩니다.이런 세법적 무지로 인한 과소신고는 가산세 경감대상이 아니므로 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면 고용하심이 옳습니다.
2021년 3월 29일 작성 됨
Q.
양도소득세는 왜이리 많이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금문제가 아닌 왜 세금을 내야하는가에 대해 억울하신것 같습니다.소득이 있는곳에 세금이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돈을 벌면 세금을 걷고 그것으로 나라를 운영한다는 원리입니다.아무래도 나라를 운영하기위해 지출이 많으면 세수도 많아져야 겠죠.. 요즘 돈을 많이 풀고있으니 어디서든 걷을 곳은 필요하다 보입니다.또는 각종 부양, 제한 정책에 의해 세금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현재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해 세법을 마구 뜯어 고쳐 현직 세무사도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입니다.부디 결과가 좋길 바랄 뿐입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