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러브버그는 도대체 언제 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는 햇볕에 노출되면 활동력이 저하되어 서서히 자연 소멸하게 됩니다. 수명도 일주일정도로 굉장히 짧은 편이구요. 작년의 상황으로 미루어 볼때, 올해도 7월 중순쯤 자연히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모기는 아주작은 해충에 불가한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모기의 침은 6개로되어있습니다. 먼저 톱날 모양의 침 2개가 피부 조직을 썰어 피부 표면을 약하게 만들고, 동시에 양옆의 47개가 넘는 가시달린 침 2개로 혈관이 있는곳 까지 구멍을 뚫습니다. 그다음 타액관과 흡혈관을 뚫린 구멍으로 넣어 타액을 주입한 다음 흡혈을 합니다. 여기서 타액을 넣는 이유는 혈액의 응고를 막고, 일시적으로 마취를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가오리와 홍어는 다른종류의 어류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홍어와 가오리는 다른 종류의 어류입니다.홍어는 마름모꼴의 몸통을 가지고 있고, 배의 색이 회색입니다.반면에 가오리는 오각형의 몸통에 가운데는 흰색, 가장자리는 노란색의 배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홍어는 꼬리에 두개의 지느러미와 작은 가시가 있으며, 가오리는 꼬리가 길고 지느러미가 없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왜 오징어를 잡을 때 불을 환하게 하고 잡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오징어는 밤에 사냥을 하는 습성이 있습니다.오징어잡이 배가 불을 환하게 켜두는 것을 집어등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바다아래에 있는 고기들이 빛을 보고 모여들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렇게되면 오징어는 사냥을 위해 물고기가 모여있는 배근처로 오게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가장 수명이 긴 곤충은 어떤 곤충일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수명이 가장 긴 곤충은 흰개미 여왕개미 입니다.흰개미 여왕개미의 수명은 최소 10년 정도되며 15년에서 길게는 종에 따라 20년 까지 사는 여왕개미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대머리 독수리는 왜 머리에 털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대머리독수리의 머리털이 없는 이유는 체온조절 때문입니다.대머리독수리는 땅위에서도 살고, 2000m 높이의 상공을 비행하기 때문에 굉장히 큰 온도차이를 버텨야 합니다.그렇기 때문에 체온조절을 위해 머리에 털이 없습니다.열을 배출해야하는 상황에서 대머리독수리는 목을 앞으로 쭉 뻗는 모션을 취하는데 이때 머리털이 없어 더 빨리 열이 배출됩니다.또한 열손실을 줄이고자 할때에는 몸을 움츠러뜨려 머리를 몸안으로 넣는 모션을 취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요즘 많이 보이는 두쌍이 짝지어 다니는 벌레는 왜이리 많이 생기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이 목격하신 벌레는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불은등우담털파리입니다.최근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여 우리나라에서 대량 발생하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4일 작성 됨
Q.
공룡은 언제 멸종되었고 왜 멸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공룡은 2억년 가까이 지구의 주인으로 살았었는데요, 약 6,500만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며 공룡이 멸종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4일 작성 됨
Q.
자연 발생한 이종교배종 동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북극곰과 그리즐리곰이 자연에서 교배되어 피즐리 베어가 태어나기도 하고, 드물게 자연에서도 사자와 호랑이가 자연교배하여 라이거가 태어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생물·생명
2024년 6월 24일 작성 됨
Q.
동물의 지능은 어떻게 측정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동물의 지능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은 없으나 동물의 평상시 행동습관을 보거나 문제 해결능력, 뇌의 크기 등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추정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