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피검사 염증수치가 높게 나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ESR은 체내에 존재하는 염증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길고 얇은 수직 관에 혈액을 떨어뜨려 실제 적혈구가 침강되는 속도를 측정합니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적혈구 침강에 작용하는 섬유소원과 같은 인자와 침강에 반응하는 적혈구 사이의 음전하로 형성됩니다. 급성기 반응물질의 혈중농도가 증가하면 적혈구가 더 빨리 침강하여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감염, 자가면역질환, 종양, 조직 손상 등에 의해 증가할 수 있으며, 겸상적혈구빈혈 등에서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침강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제로는 덱스트란, 메틸도파, 경구피임제, 페니실라민, 프로카이나마이드, 테오필린, 비타민 A 등이 있으며, 감소시킬 수 있는 약제는 아스피린, 코디손, 퀴닌 등이 있습니다. 적혈구침강속도가 증가하면 염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검사들을 추가로 시행합니다. 여성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빈혈, 월경, 임신, 고령 등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자세한 병력과 함께 다른 검사결과를 종합하여 판독해야 합니다.
Q. 비문증 치료에 좋은 음식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비문증은 40대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50~60대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노화 현상과 관련이 깊습니다. 근시가 심한 사람은 청년기 이후부터 비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비문증은 대부분 나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입니다. 다만 비문증이 병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안과 진료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문증은 일반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눈앞에 검은 실이 떠다닌다고 해서 그것에 너무 신경을 쓰지 말고 자연스럽게 무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적응하여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문증이 있는 사람은 그 물체에 대해 자꾸 신경을 집중시키는 습관이 생깁니다. 하지만 신경을 집중시키고 걱정을 하는 행위는 증상을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시간적, 정신적으로 손해입니다. 가장 좋은 해결 방법은 안과 의사의 검진을 통해 그 현상이 단순한 비문증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그 물체를 무시하고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떠다니는 물체의 숫자나 크기에 여러 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갑자기 검은 실 같은 것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눈앞에 무언가가 가려지는 듯한 증상이 느껴지면, 병적인 비문증(망막 박리에 의한)으로 진행하는 초기 단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안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비문증일지라도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레이저 치료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레이저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파를 이용해 커다란 부유물을 작게 부수거나 흐트러뜨림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눈 속에는 충격파로 없앨 부유물뿐만 아니라 연약하고도 매우 중요한 망막과 유리체 등이 있습니다. 이 충격파가 전달되어 망막에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부유물이 깨지면서 그 숫자가 더 늘어나 결과적으로 불편감이 더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유물의 크기와 밀도가 크며 시축을 가로막으면, 수술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또한 여러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비문증은 질환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합병증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치료를 권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