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자격증
Q. 코미디 프로그램에 나왔던 동네바보는 발달장애인을 비하하는 캐릭터였나요?
안녕하세요. 배수민 사회복지사입니다.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소재로써 사용하지만 비방, 비하를 목적으로 하지않습니다.개그는 개그일뿐 오해하지말자이런 말을 직접적으로도 하지요.특히나 방송의 경우는 심의를 거치기도 하고요.다만, 시대적으로 본다면 지금보다는 느슨한 심의로 방송에 나왔고지금 생각해보거나 본다면 비하, 비방하는걸로도 보일수는 있습니다.그리고 말씀하신 바보라고 놀렸다. 이부분은 방송이 아닌 경우인데요.이때는 비하하는 일이 맞다고 봅니다.하지만, 악의적인 비하인지 아닌지도 구분을 해야하겠죠.이런 경우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 확실하게 맞다 아니다를 구분지을수가 없어 사회복지를 할때도 난감한 부분이기도 합니다.질문자님께서도 이런 경우신거같아요.난감한 부분이라도 질문자님같이 의문을 가지는것도 중요하다봅니다.좋은 질문 감사합니다.저도 한번 돌아보게되는 답변시간이었네요^^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어린 비장애아이들이 발달장애성인에게 버릇없이 굴고 반말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수민 사회복지사입니다.아이들도 보는 눈이라는것이 있죠.자신이 이 사람에게 뭘해도 자신에게 어떻게 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다보니 막대하거나 피해를 주는 것인데요.이건 교육의 문제라고 봅니다.학교, 부모, 주변 환경에서 가르쳐야할 것들인데 아이의 성향이라고 보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그리고 이건 사회성의 문제이기도 합니다.사회성도 잘지내냐 못지내냐 이런것도 있지만 도덕적으로 어떻게 행동하거나 어떤 사고를 가져야한다는것도 포함되지요.이런 부분도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교육이 필요하다봅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자폐성장애인들이 예능을 보면 더 위험해지나요?
안녕하세요. 배수민 사회복지사입니다.위험해진다.. 어찌보면 맞는 표현인듯 합니다.자폐성장애인뿐만 아니라 지적장애인도 포함될듯한데요.제 경험상으로는 말씀하신 부분이 참 공감이 갑니다.예능에서는 상대방을 공격해서 웃음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는 이해하고 넘겨서 문제가 없지만 자폐, 지적 장애를 가진 친구들은 어떤건지 모르고 말이나 행동을 따라하는 경우들이 있더라고요.다만, 무조건 적인건 아니고 일부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교육이나 장애의 정도에 따라 다르니까요.하지만 위험도에는 더 노출이 잘된다라는것에는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