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구본민 전문가
대영산전주식회사
Q.  보조배터리를 집에서 개조를 할 수 잇을까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보조배터리를 만드는 것은 기술적 지식이 있으면 가능하지만, 몇가지 중요한 사항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일만은 아닙니다. 특히 큰 용량의 보조배터리를 만들 경우, 안전 문제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적절히 설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조 배터리를 제작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배터리 셀 선택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사용합니다. 배터리 용량을 크게 하려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해야 하며, 각 셀의 전압과 용량을 고려해야 합니다.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충전, 과방전, 과열 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제어하는 BMS가 필수적입니다. BMS는 각 배터리 셀을 모니터링하고, 안전하게 충전 및 방전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케이스 및 배선 : 배터리 셀과 BMS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케이스가 필요하며, 전류를 잘 흘려보낼 수 있는 배선 작업도 중요합니다. 큰 용량의 보조배터리는 특히 발열 문제를 고려해 환기나 냉각 시스템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충전회로 : 배터리 충전 속도를 조절하고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회로도 필요합니다. 잘못된 충전 방식은 배터리 수명을 줄이거나 폭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출력 포트 구성 : 다양한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USB, USB-C 같은 출력 포트를 구성해야 합니다.보조 배터리를 제작할 때 특별히 다음 사항에 대해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안전성 :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하거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큰 용량을 만들 때는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전기적 지식 : 전기 회로 설계 및 배터리 셀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배선이 잘못되면 단락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법적 규제 : : 배터리 개조나 제작에 관련된 법적 규제가 있을 수 있으니, 특히 대용량 배터리를 만드는 경우 관련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정리해 보면 기본적인 전기 및 전자기기 지식이 있다면 보조 배터리 개조는 가능하지만, 안전 문제와 기술적 문제에 대비 해야 하므로 신중하게 진행 하셔야 합니다.
Q.  간접조명이라는 것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간접 조명은 직접적으로 빛이 눈에 들어오지 않고, 벽이나 천장 등 다른 표면을 통해 빛이 반사되어 은은하게 퍼지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빛의 원천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빛이 부드럽게 확산되도록 설계된 것이 간접조명입니다. 주로 실내에서 편안하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간접조명을 사용하는 경우, LED 스트립이나 빛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설치된 조명이 벽, 천장, 또는 바닥 쪽을 향해 빛을 비춥니다. 그러면 그 빛이 주변 표면에 반사되어 공간을 밝히는 역할을 하게 되죠.따라서, 집에 4방면으로 설치된 조명이 빛이 반사되어 퍼지도록 설계된 형태라면 그것이 바로 간접조명입니다. 간접조명은 시각적 피로를 줄이고, 공간에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Q.  DRAM 과 NAND 플래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질문 주신 , DRAM과 NAND Flash 메모리의 기본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DRAM은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컴퓨터와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주로 주기억 장치로 사용되는 메모리 입니다. DRAM의 주요 특징은 데이터 저장을 위해 전하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리프레시(refresh)과정을 거치며,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합니다.구조: DRAM은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셀 구조를 가지며, 각 셀은 하나의 비트(0 또는 1)를 저장합니다.장점: 고속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어, 컴퓨터의 작업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단점: 휘발성 메모리이므로,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또한, 주기적인 리프레시가 필요해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단점도 있습니다.NAND(NAND Flash Memory) : NAND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NAND 플래시는 주로 스토리지 용도로 사용되며, 스마트폰, SSD, USB 메모리 등 다양한 저장 장치에 활용됩니다.구조: NAND 메모리는 셀(Cell)로 구성되며, 셀들은 트랜지스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NAND라는 이름은 논리 게이트의 NAND(논리곱 부정) 구조를 따서 붙여졌습니다.장점: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없어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으며, 높은 저장 밀도로 인해 대량의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단점: 읽기 및 쓰기 속도는 DRAM에 비해 느리며, 셀마다 제한된 수명의 쓰기/삭제 주기가 있습니다.사용 목적의 차이DRAM은 주로 작업 메모리(RAM)로서, CPU가 작업을 처리할 때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액세스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즉,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작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NAND 플래시는 영구 저장 장치로 사용되며, 장기적인 데이터 보관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USB 드라이브, 스마트폰, SSD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는 데 유용합니다.정리해 보면 DRAM은 빠르고 휘발성인 메모리로, 작업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최적화 되어 있으며, 반면에 NAND 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대용량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사용됩니다.
Q.  반도체 결함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반도체에서 결함(defet)은 전기적,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반도체 결함은 주로 제조 과정이나 회부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정밀한 관리가 필수적이빈다. 그럼 반도체 결함의 발생 원인과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반도체 결함의 발생 원인결정 구조 결함(Crystallographic Defects):점 결함(Point Defects): 원자가 결정을 이루는 격자에서 빠지거나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 예를 들어, 원자가 결함 위치에 다른 종류의 원자가 들어가는 경우를 의미합니다.빈자리 결함(Vacancy): 격자 내에서 특정 위치에 있어야 할 원자가 없는 상태.치환형 결함(Substitutional Defect): 격자 위치에 다른 종류의 원자가 들어간 경우.자간형 결함(Interstitial Defect): 원자가 격자 외의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선 결함(Dislocations): 결정 구조 내에서 원자 배열이 어긋난 선형의 결함입니다. 이는 반도체의 기계적 강도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면 결함(Surface Defects): 반도체 내부에서 두 개의 결정이 맞물리지 않는 결함. 이는 주로 이종결정 계면에서 발생합니다.불순물 도핑(Doping) 시 결함반도체의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 도핑을 할 때, 불순물이 지나치게 많거나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으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순물이 너무 적으면 목표한 전도 특성을 얻기 어렵고, 너무 많으면 격자 구조가 붕괴될 수 있습니다.열적 스트레스(Thermal Stress):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열처리(annealing)를 할 때, 온도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면 격자가 뒤틀리거나 응력에 의해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냉각 속도가 너무 빠르면 균열이나 기타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오염 및 외부 물질(Chemical Impurities):공정 중에 불순물, 먼지, 물기 등이 반도체 표면에 접촉하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린룸에서 제조할 때 공기 중의 작은 입자도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방사선 및 외부 충격반도체는 방사선,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외부의 물리적 힘을 받아 구조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때 원자들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결함이 발생합니다.반도체 결함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고품질 원재료 사용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순도의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고품질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순물이 적고 결정 구조가 잘 형성된 원재료는 결함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엄격한 클린룸 관리공정이 진행되는 클린룸 환경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공기 중의 먼지, 불순물, 물기 등이 반도체 표면에 달라붙으면 결함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린룸의 청결도와 정전기 방지 대책을 유지해야 합니다.열처리 공정 최적화열처리 과정에서 온도 변화를 점진적으로 하고, 적절한 시간 동안 고온을 유지하며 서서히 냉각해야 열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급격한 온도 변화는 구조적 결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합니다.정밀한 도핑 공정 관리도핑 과정에서는 정확한 농도와 균일한 분포를 유지해야 합니다. 불순물 농도를 너무 높이거나 도핑이 고르지 않게 이루어지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고도화된 공정 제어가 필수적입니다.표면 처리 및 세정제조 과정 중 발생하는 표면 결함을 줄이기 위해, 반도체 웨이퍼를 세정하고,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산화막이나 보호층을 적절히 적용해 외부 물질로부터 웨이퍼를 보호해야 합니다.품질 관리(QC) 및 검증 절차 강화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엄격한 품질 관리(QC)를 통해 결함을 사전에 감지하고, 문제가 발생한 공정은 즉시 개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X선 검사,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등 고해상도 검사 장비를 활용한 검증이 필요합니다.정리해 보면, 반도체 결함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할 수 있으며, 결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정밀한 제어와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고품질 원재료 사용, 클린룸 관리, 도핑과 열처리 공정의 최적화, 그리고 주기적인 검증 절차를 통해 결함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Q.  홀 전압의 크기는 어떤 요인들에 의해 결정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홀 전압(Hall Voltage)은 도체나 반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그 물질에 수직으로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전하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홀효과(Hall Effect)라고 불리며, 이때 발생하는 홀 전압의 크기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자기장 세기(B)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의 세기, 즉 자기장 강도는 홀 전압의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장이 강할수록 전하들이 더 많이 이동하며, 그 결과 전위차가 커집니다.홀 전압은 자기장의 세기 B에 비례하므로, 자기장이 강할수록 홀 전압도 커집니다. VH∝B전류의 크기(I)도체 또는 반도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도 홀 전압에 비례합니다. 전류가 클수록 더 많은 전하가 이동하며, 홀 전압이 커집니다.즉, 전류 I가 증가하면 홀 전압도 증가합니다. VH∝I도체 또는 반도체의 두께(d)홀 전압은 도체 또는 반도체의 두께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좁을수록 전하 밀도가 높아져서 전위차가 커지는 원리입니다.두께 d가 얇을수록 홀 전압이 더 크게 발생합니다. VH∝1 / d캐리어 농도(n)도체나 반도체의 전하 캐리어 농도, 즉 전도 전자의 농도도 홀 전압에 영향을 미칩니다. 캐리어 농도가 높을수록 전하들이 쉽게 분포되기 때문에 홀 전압이 작아집니다.즉, 전하 캐리어 농도 n이 높을수록 홀 전압이 낮아집니다. VH∝1 / n전하 종류 및 크기(q)전하의 종류와 크기 역시 영향을 미칩니다. 홀 전압은 전하를 이동시키는 전자나 양공과 같은 전하 입자의 전하량 q에 비례합니다.일반적으로 전자의 전하량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더 큰 전하량을 가지는 입자가 있을 경우 홀 전압이 커질 수 있습니다.정리해 보면 홀 전압의 크기는 위에서 언급한 요인들에 의해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됩니다. VH​=IB​ / nqdI: 전류의 크기B: 자기장 세기n: 전하 캐리어 농도q: 전하량 (전자의 경우 기본 전하량)d: 도체나 반도체의 두께위 수식을 통해, 홀 전압은 자기장 세기, 전류 크기, 전하 캐리어 농도, 전하량, 그리고 도체의 두께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