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도시 밤거리를 걷다 보면은 휘황찬란하고 울긋불긋한 네온사인이 빛나고 있습니다 이 울긋불긋 빛나는 네온사인은 시시각각으로 색깔이 변하는데요 이 원리는 무슨 원리로 그렇게 되는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도시의 밤거리를 물들이는 네온사인은 그 화려한 빛과 색상이 시시각각 변하는 이유는 전기와 가스의 상호 작용에 있습니다. 네온사인의 작동 원리는 가스 방전 현상에 기반하며,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와 형광 물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나타납니다. 그 기본 원리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스 방전: 네온사인 내부에는 네온(Neon) 가스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습니다. 이 가스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가 가스 원자에 충돌하게 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전환되면서 특정 색깔을 나타냅니다.네온 가스는 전류가 통할 때 붉은 빛을 냅니다.아르곤 가스는 청색, 헬륨 가스는 오렌지색, 크립톤 가스는 녹색을 만들어냅니다.형광 물질: 네온사인의 유리관 내부에는 형광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스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이 형광 물질에 흡수되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형광 물질 덕분에 네온사인이 더욱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습니다.전류 변화: 네온사인에서 전압이나 전류를 조절하면 색상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게 됩니다. 가스가 방전되는 강도와 방식에 따라 빛의 밝기나 색감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점멸기나 변압기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온사인이 깜박이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변하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네온사인의 색이 변화하는 이유는 단순히 가스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가스를 사용하거나, 유리관 내부의 형광 물질을 다르게 조합하여 전류에 따라 색이 변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어 장치를 사용해 특정 구간에서만 전류가 흐르도록 프로그래밍하면, 네온사인의 색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Q. 한국전력공사 적자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한국 전력 공사의 현재 재정 상태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전은 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구입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그동안 전기요금 인상 압박과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재정에 부담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한전은 전력 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석탄, 천연가스 등의 국제 연료 가격이 급등할 때 전력 공급 비용이 증가하지만, 전기요금 인상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큰 적자가 누적된 상황입니다.전기요금 인상 이유는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석유, 석탄, LNG 등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력 생산 비용이 증가했습니다.환경 규제 강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력 생산 비용이 높아졌습니다.전기요금 현실화 필요성: 한전의 적자가 누적되면서 요금 현실화를 위한 전기요금 인상 요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누진제는 전기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더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주택용 전기 요금에 적용됩니다. 누진제는 월간 사용량에 따라 적용되며, 전기 사용량이 300kWh를 넘으면 2단계 요금, 450kWh를 넘으면 3단계 누진 요금이 적용됩니다.예를 들어, 여름철에 에어컨 사용으로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면 누진 요금 구간에 따라 요금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한편, 소비가 많은 사용자에게는 더 큰 비용을 부과하게 됩니다.전기요금이 오르는 것은 에너지 비용 상승, 환경적 이유, 그리고 한전의 적자를 보전하기 위한 필요성 등 여러 요인이 결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충격전류는 어떤 것으로 표현을 하고 개념을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충격 전류 또는 임펄수 전류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갑작스럽게 강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전류는 급격하게 상승했다가 빠르게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 시스템에서 예상치 못한 충격이나 방전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격 전류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짧은 지속 시간 : 임펄스 전류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흐르며, 전류가 급격히 상승하고 곧바로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큰 전류 크기 : 지속 시간이 짧지만, 매우 큰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런 큰 전류는 장비나 시스템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파형 특성 : 임펄스 전류는 보통 급격히 상승한 뒤,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파형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낙뢰나 서지에서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충격 전류(임펄수 전류)의 대표적인 예는8/20 μs 파형낙뢰와 같은 충격 전류를 모사할 때 주로 사용되는 파형으로, 8μs 동안 전류가 최대치로 상승한 뒤, 20μs 안에 50% 수준으로 떨어집니다. 이 파형은 번개가 전력선이나 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10/350 μs 파형:고에너지 임펄스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으로, 번개가 건물에 직접 떨어지거나 전력 설비에 큰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류 파형입니다. 이 파형은 크기가 더 크고, 에너지가 더 높습니다.충격 전류는 기기와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큰 임펄수 전류는 기기의 절연을 파괴하거나 전기 시스템의 회로를 손상 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보호 장치가 필요합니다.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서지 보호기는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임펄스 전류(서지 전류)를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과도한 전류가 발생할 때 전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여 전기 장비를 보호합니다.피뢰기(Lightning Arrester):피뢰기는 낙뢰에 의한 고전압 임펄스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번개가 전력선이나 건물에 직접 떨어질 때 발생하는 임펄스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써 장비를 보호합니다.적절한 접지:전력 설비와 장비가 적절하게 접지되어 있으면 충격전류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접지는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임펄스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정리해 보면, 충격전류(임펄스 전류)는 짧은 시간 동안 강하게 흐르는 전류로, 주로 번개, 스위칭 서지, 방전 등의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전기 시스템이나 장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지 보호기, 피뢰기 등의 보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 철손은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을 합친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질문 하신것 처럼 철소(Iron loss)은 주로 변압기나 전동기와 같은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 중 하나로,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류 손실을 합친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손실은 모두 철심(코어)에서 발생하는 손실이기 때문에, 이를 묶어서 철손이라고 부릅니다. 철손은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손실 요소이며, 주로 교류(AC)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합니다.히스테리 시스 손실원인: 히스테리시스 손실은 철심이 자화되었다가 자화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자화-탈자 과정에서 철심 내부의 자성체가 저항하며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로 변환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특징: 히스테리시스 손실은 주로 자성 재료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교류 주파수가 높을수록 손실이 커집니다. 자성 재료가 더 자화와 탈자를 반복할수록 손실이 커지기 때문입니다.영향: 자재의 성질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넓을수록(즉, 히스테리시스 루프가 클수록) 손실이 커집니다.와류 손실(에디 전류 손실)원인: 와류 손실은 교류 자기장이 철심을 통과할 때, 철심 내부에 유도 전류(와류)가 발생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유도된 전류가 철심 내부에서 회로를 형성하며 흐르게 되고, 이 전류가 철심의 저항에 의해 열로 변환되면서 에너지가 손실됩니다.특징: 와류 손실은 철심의 두께와 재료의 전기적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와류를 줄이기 위해 철심을 얇은 판으로 만들고 절연하는 적층 철심을 사용합니다.영향: 교류 주파수가 높아지거나 자기장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와류 손실이 증가합니다.철손은 교류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기기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철손은 기기가 작동할 때 일정하게 발생하는 손실로,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열로 변환되어 기기의 효율을 떨어뜨립니다.추가로 철손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료 개선: 철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성 재료의 특성을 개선하거나, 히스테리시스 루프가 좁은 재료(저손실 재료)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적층 철심 사용: 와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얇은 철판을 적층하여 절연된 구조로 만든 철심을 사용합니다. 이는 와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줄여 와류 손실을 감소시킵니다.냉각 시스템 사용: 열로 변환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을 적용하여 열 축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정리해 보면, 철손은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류 손실의 합을 의미하며,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주요 에너지 손실 중 하나입니다. 히스테리시스 손실은 철심이 자화되었다가 탈자될 때 발생하고, 와류 손실은 유도 전류가 철심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Q. 푸리에 급수에 대해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푸리에 급수는 주기적인 신호난 함수를 기본적인 삼각 함수(사인파와 코사인파)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파형을 여러 개의 간단한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푸리에 급수는 수학, 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기적인 신호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푸리에 급수의 개념에 대해 살펴 보면 푸리에 급수는 주기적인 함수(예: 사각파, 삼각파, 톱니파 등)를 기본적으로 사인파와 코사인파로 분해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사인파와 코사인파는 주파수, 진폭, 위상 등 다양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조합하면 주기적인 신호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푸리에 급수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모든 주기적인 신호는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표현을 통해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신호 처리나 시스템 분석에 활용합니다.수식으로 표현하면 주기 함수 f(x)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냅니다. 수식 입력이 안되서 그림으로 삽입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a0: 상수항으로, 신호의 DC 성분(즉, 평균 값)입니다.an: 코사인 함수(짝수 함수) 계수로, 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나타냅니다.bn: 사인 함수(홀수 함수) 계수로, 역시 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나타냅니다.n: 기본 주파수의 배수로, 기본 주파수의 고조파(harmonic)를 나타냅니다.푸리에 급수로 표현되는 파형들은 다음 5가지로 나타냅니다. 사인파(Sine wave)푸리에 급수에서 사인파는 가장 기본적인 주파수 성분입니다.사인파는 주기적인 파형을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단위입니다.코사인파(Cosine wave)사인파와 비슷하게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파형입니다.사인파와 코사인파는 서로 위상이 90도 차이 나지만, 둘 다 푸리에 급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사각파(Square wave)사각파는 급격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파형입니다. 푸리에 급수로 표현할 때는 홀수 배수의 사인파의 합으로 표현됩니다.예를 들어, 1차, 3차, 5차... 등의 고조파가 사인파의 조합으로 사각파를 구성합니다.삼각파(Triangle wave)삼각파는 완만하게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파형입니다.사각파와는 달리, 고조파 성분이 더 천천히 감소합니다. 푸리에 급수로 표현할 때는 홀수 고조파로 구성되며, 고차 고조파의 계수는 빠르게 감소합니다.톱니파(Sawtooth wave)톱니 모양의 파형으로, 푸리에 급수로 표현할 때는 모든 고조파(짝수와 홀수)를 포함합니다.정리해 보면 푸리에 급수는 주기적인 신호를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조합으로 분해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파형을 단순한 주파수 성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각파, 삼각파, 톱니파 등의 주기적인 파형은 다양한 주파수 성분의 사인파와 코사인파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