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대 문학에서 비극적 결말을 사용하는 작가들은 어떤 부분을 전달하고 싶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모든 비극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메세지 같은 것은 없습니다이 질문은 예시를 미술로 바꿔 보자면"조각가들이 화강함을 안쓰는 이유" 같은 것인데이건 화강암이 조각하기 힘들어서 라는 기능적인 이유지무슨 돌이냐에 따라서 조각의 메세지가 바뀌어서가 아니죠?마찬가지로비극은 독자의 인상에 잘 남는다, 카타르시스를 유발한다같은 기능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런 기능을 쓰고 싶은작가가 채택하는 것이지비극밖에 줄 수 없는 메세지가 따로 있어서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또한, 이야기의 결말은 분명 중요한 이야기 지만그래도 이야기의 일부이기 때문에 문맥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서감상자에게 전혀 다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비극은 한자로 슬픈 연극으로 쓰는 만큼 독자를 슬프게 할 때가 많지만등장인물 전체가 악당인 피카레스크 장르에선 비극적 결말도 "쌤통이다"라고 느끼게 만들 수 있고나치시절에 쓰여진 나치가 승승장구하는 연극을 지금 본다면그때 당시 나치가 느꼈을 웅장함이나 즐거움이 아니라 역겨움이 느껴지겠죠작품 전체가 코미디거나 결말에서 반전적비극으로 더 큰 충격을 줄 수도 있을 것이고매우 섬세하게 쌓인 복선을 통해서 비극임에도 납득하고 받아들이게 만드는 작품도 있습니다창작에 한계란 없는 법이니, 비극을 쓸때 무조건 들어가야는 갈등요소라던가비극을 쓸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회현상 같은 것은 없는 것입니다혹시 이 질문이 과제같은 것이라면아마 "특정 연극에서 비극이 사용된 이유"같은 문제였을 것 같습니다다시한번 잘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