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신소설로 불리는 소설은 어떤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신소설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학을 뜻합니다고전소설에서 근현대 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소설들이며개화기 소설이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있습니다세상 대부분의 다 그렇듯 소설도 어느순간 세상 모든 글들이 팍 하고 변하는게 아니라조금씩변해가는 것이니까요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수어는 전세계 공통언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나라마다 다릅니다수어는 전세계에 약 142개~157개 쯤 있다고 하며군부대등에서 사용하는 손동작 신호를 포함하면 400개가 넘는다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한국의 수어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서 수입된 것을 한국에 맞게 개조한 것으로한국어와 함께 대한민국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3인칭 시점에는 왜 주인공시점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3인칭 이라는건 작품 밖의 시점입니다작품을 만들어낸 작가의 시점 또는 작품을 보는 독자, 관객의 시점이죠그리고 주인공은 이야기의 중심인물입니다주인공이 처음부터 끝까지 작품밖에 나가있는 건불가능한 일입니다다만, 주인공의 3인칭 시점이 불가능 한건 아닙니다무슨 뜻이냐면"미래의 주인공" 이 "과거의 이야기"를 남에게 들려준다는 설정의 액자형 소설이라면과거의 (아무것도 모르는)주인공과미래의 (모든일이 끝나고 난 후의) 주인공이라는 두 존재로 분리되기 때문에과거시점의 이야기에 한해선 주인공=3인칭 화자가 될 수 있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소설에서 갈등은 꼭 있어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매우매우 편안한 분위기를 추구하는 일상물 장르 조차도친구끼리 오해한다던가 약속에 늦는다던가 하는 작은 갈등정도는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갈등이 아예 없는 내용이라면,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날의 일기나 다를 바 없는데그런걸 돈주고 사볼 사람은 많지 않으니까요
문학
2024년 8월 16일 작성 됨
Q.
한국인이 한국인들만 모르는이라는 말을 쓰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문법적으론 문제 없습니다아마 "글쓰는 사람이 한국인인데 한국인은 모른다 하면 거짓말이 아닌가?"라는 질문을 하고 싶으셨던 것 같은데그건 의미와 맥락의 문제입니다맞춤법, 띄어쓰기같은 "형식"의 문제인 문법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