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공방전이란 소설의 특징 및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가전체(假傳體)는 과거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문학입니다 꾸며낸(假) 일대기(傳)를 쓰는 문체(體) 라는 한자이며사물이나 동물 등 인간이 아닌 것을마치 인간의 일대기, 위인전을 쓰듯 어나서 성장하고 어떤 일을 겪고 사망하는 것. 심지어 후손의 이야기와 작가의 감상평까지 만들어내는 것이죠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문학으로이름또한 전통적인 인물 묘사 방식인 기전체(紀傳體)의 패러디 입니다가전체의 특징은 다음의 5가지로 요약이 됩니다사물을 의인화 함수제가 풍자적수사가 함축적계세징인(사람들에게 경계심을 주고자 지음 =사회 고발)을 목적으로 함전고(=고전, 옛 이야기)에 의존임춘의 소설 공방전(孔方傳)은 이런 가전체 문학작품중에서도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작품이며돈의 의인화인 공방이라는 사람을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해재물을 탐하는 욕심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Q. 낭만이라는 말이 참 멋있는 것 같은데 정확히 낭만이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낭만은 사전적으로(浪漫) 현실에 매이지 않고 감상적이고 이상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대하는 태도나 심리. 또는 그런 분위기. 혹은 그렇게 하여 파악된 세계를 뜻합니다일본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가 로망(roman/romance)을 한자를 사용하여 浪漫(ろうまん, 로망)으로 음역한 것이그대로 한국에 들어온 것이죠로망스(romance)는 서구권에서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선을 넘다", "규율·금기를 깨다"같은 뉘앙스와 "좋은 옛 시대의 것"이라는 서로 대립적인 뜻이 공존하는 단어입니다하지만 발음조차 닮지 않은 한국에서는 이런 뜻은 좀 희미해지게 되었고'물결이 [랑(浪)]'흩어지듯 [만(漫)]이라는 한자의 뜻, 다시 말해서 ‘제멋대로 하다’에서 착안 하여현실/상식/효율 같은 흔한 기준을 무시한 자신만의 길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뜻 자체가 자신만의 길이니 무엇이 낭만인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