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3개월 전 작성 됨
Q.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한 기본 요건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간결한 질문이 읽는 입장에서 더 편하죠그렇기에정확한 문법과 단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질문 내용과 상관없는 글은 자제하시는 게 좋습니다 ( 너무너무 궁금해요~~~ 같은 감정표현 ,맞는지 확신이 없는 정보 등)질문하고 싶은 것이 여러개라면 하나씩 따로따로 질문하시는게 더 좋습니다예시: a옷 과 b옷중에 무엇이 더 입기 편한가요? 그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의 자세한 조건을 지정하는 것이니 하나의 질문A옷과 b옷중에 무엇이 더 편한가요? A옷과 어울리는 벨트는 무엇일까요? =같은 옷을 대상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질문, 분리하는 것이 좋음
문학
3개월 전 작성 됨
Q.
대전 중구 한밭도서관 재개관이 궁금함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2025. 4. 7. ∼ 11. 30 7개월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공지글:http://daejeon.go.kr/hanbatlibrary/board/boardNormalView.do?boardId=normal_1020&menuSeq=6242&pageIndex=1&ntatcSeq=1475938653
문학
3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조선 초기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조선에서 용은 왕의 비유로 자주 쓰였습니다그래서 용이 하늘을 날아가는 이야기라는 뜻의 용비어천가는국왕찬양노래 라고 해석할 수 있죠역사가 짧은 조선왕조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한 책이며대체로 중국의 고사가 나온 뒤 그 고사와 비슷한 세종 이전의 왕들의 일화가 나오는 구성입니다역사 기록으로써의 가치도 있다는 것이죠훈민정음으로 쓰인 현존하는 최초의 책이자 한글 반포 이전에 지은 유일한 한글 작품으로민간에 배포 되어 변형되기 전의 훈민정음의 모습이나 조선시대 한국어를 엿볼 수 있다는 가치가 있습니다특히 모두 순우리말로 쓰여면 4개 장은 매우 귀중한 자료죠
문학
3개월 전 작성 됨
Q.
사자성어 중에 있는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 문장 전체를 뜻하는 사자성어는 모르지만둘로 나누면 많은 사자성어가 있습니다-자기가 상처 준 것을 모른다-아전인수(我田引水)어떤 일이나 말을 두고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한다후안무치(厚顏無恥)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면이무치 (免而無恥)잘못을 해도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사람인면수심 (人面獸心)사람의 얼굴로 짐승의 마음을 가진 사람자이위시(自以爲是)자기만 옳다고 역이는 독선적인 사람-자신이 같은 처지에 놓이니까 화낸다-역지사지 (易地思之)처지를 바꾸어 생각하다설신처지(设身处地)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다.그밖에는 엄살을 뜻하는 무병신음(無病呻吟)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내는 적반하장(賊反荷杖)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끌어 대어 자기에게 유리하게 하는 견강부회 (牽强附會) 등도 응용해서 쓸 수 있을 듯 합니다예시: 내가 당했을땐 아무말도 안하더니 자기가 당했다고 화내는 것은 견강부회다.
문학
2025년 5월 7일 작성 됨
Q.
글쓰기를 할 때 꼭 짚어 / 꼭 집어와 콕 짚어 / 콕 집어의 옳바른 작성법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넷 모두 틀린 표현은 아니고 서로 다른 뜻일 뿐입니다콕: 작게/야무지게 찌르는 의태어꼭: 반드시 라는 뜻집어: 물건을 집어 올린다짚어: 여럿 중 하나를 지정한다. 예시-후보 중에 1번을 짚어 투표 했다이기 때문에콕 집다: 작게 찌르듯이 잡아 들다꼭 집다: 반드시 집어 올린다콕 짚어: 찌르듯이 딱 그것만을 지정한다꼭 짚어: 반드시 그것을 지정한다이런 차이 입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