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주유기에 정전기 방지 검고둥근 모양은 왜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주유하다 보면 정전기가 발생되어서 혹시나 기름에 불이 발생될수 있어서 그런것입니다. 그래서 정전기를 먼저 몸에서 뺴 내고 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무선충전을 할때 거리에 따라서 자기장의 영향으로 인해서 충전 효율이 차이가 발생되나요?? 아니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추전은 충전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상대방 충전하려는 기기의 코일에 영향을 주어서 충전이 되는 형식입니다. 보통 거리가 몇mm밖에 되지 않아서 조금만 떨어져 있어도 효율에 영향이 큽니다. 그래서 2~3mm만 떨어져도 충전 효율이 급감하고 5mm떨어지면 충전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거리가 중요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자율주행 및 AI가 발달하면서 데이터센터가 많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네 보통 많이 사용되는 ai가 클라우드 기반이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사용하기 떄문에 더 많은 데이터 센터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가정에 들어오는 전기는 보통 220v인데요. 그럼 그 모든 전자기기가 220v를 사용하는 건가요?? 그게 국내에서 만들어진 전자기기가 다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는 보통 220v를 인가하여서 내부적으로 전압을 변경하여서 사용하거나 바로 사용하거나 합니다. 보통 교류은 220v를 직류로 변환하고 저항등을 활용해서 전류를 변경해서 필요한 전류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220v가 인가되는 것은 맞고 사용할떄는 변경해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보통 220v라고 하는데요. 그럼 이게 전압은 저항 곱하기 전류라고 하는데 얼마의 전류이고 저항으로 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류는 교류로 220v의 교류가 발전소에서 변압기를 통해서 들어오게 되고 이것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저항을 통해서 전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자체내에서 직류로 바꾸면서 필요한 전압으로 바꾸고 그것을 저항에 의해서 전류를 맞추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ktx 밑 레일에 닿으면 감전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에 감전 될수 있다고 하는건 ktx를 움직니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이나 팬터그래프등에 닿았을떄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열차 윗부분에 닿아서 공급합니다. 따라서 ktx레일은 문제가 되지 않는 이상은 전기가 흐르지 않아서 괜찮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감전은 전류 30ma 에도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감전에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이 전류의 크기 입니다. 보통 1~10ma까지는 그냥 따끔하거나 반응을 하는 정도만 되고 그 이상되면 그때부터는 근육 경련과 고통이 수반되고 50ma이상이 되면 사망까지 발생될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와 이온과도 관계가 많은것인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이온화 된 액체에서 전기가 잘통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물은 대부분 이온화된 물체들이 있어서 전기가 잘통합니다. 순수 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액체에 이온화된 물체들이 있어야지만 전기가 통하게 됩니다. 그래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대기 전력을 가지는건 그냥 전기가 흐러서 전자기기에 들어가서 흐르게 하는거라서 그런건가요? 그럼 대기 전력이 없는건 그 전기를 차단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대기 전류는 미세하게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기기에 들어가게 되고 그럼 그 전류에 의해서 대기 즉 바로 사용할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대기 전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어제 하늘에 색깔이 빨간색 이였는데요 갑자기 색이 그래서 애들이 놀랫는데요 왜 갑자기 색이 그렇게까지 빨갛게 된걸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하늘의 색이 빨갛게 된건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산란에 의해서 빛이 분산되면서 색이 빨간색으로 되어서 그렇게 된것입니다. 비가 오면 그럴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36373839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